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에서 이른바 ‘자금책’으로 지목된 강래구(58)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에 대한 구속 여부가 이르면 20일 판가름난다. 강 위원은 자금이 마련돼 뿌려지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인물로 꼽힌다. 검찰은 그의 신병 확보에 성공할 경우 자금 조달·전달 경위부터 윗선 인지·지시 등까지 수사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구속 수사에 실패하면 ‘첫 단추’부터 어긋나는 처지에 놓이면서 수사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윤재남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1시 강 위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를 연다. 이는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가 강 위원을 2차례 소환한 끝에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강공’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검찰은 강 위원이 윤관석 민주당 의원과 함께 돈봉투를 만들고 전달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고 보고 전달 정당법 위반,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강 위원은 지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민주당 당대표 선거에서 송 전 대표를 당선시키기 위해 당직자들과 공모해 9400만원을 살포한 혐의(정당법 위반)를 받는다. 또 2020년 9월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로 재직하면서 사업가 박모씨로부터 공사 산하 발전소 설비에 대한 납품 청탁 명목으로 300만원을 수수하는 등 뇌물수수 혐의도 있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강 위원 구속에 대한 법원 판단이 뿌려진 돈에 대한 대가성 입증은 물론 최종 수혜자로 지목된 송영길 민주당 대표에 대한 수사까지 방향성을 결정할 ‘1차 갈림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이 불법자금 총 9400만원 가운데 8000만원을 대전 지역 사업가 등으로부터 조달한 인물로 강 위원을 지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의 녹취 파일은 기반으로 그가 윤 의원 등과 함께 돈이 뿌려지는 과정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반대로 법원이 그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하면 수사계획에 대한 전반적 수정이 불가피해진다. 검찰은 강 위원을 시작으로 자금 마련부터 돈봉투 살포까지 범위를 확대하면서 연루자들을 차례로 수사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9400만원이 전부인지 확인해봐야 한다”거나 “순차적으로 수사를 진행 중이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보완수사가 필요하다”는 검찰 측 관계자의 앞선 발언이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구속 수사가 물거품이 될 경우, 지금껏 수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