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국빈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한 첫날부터 글로벌 콘텐츠 기업 넷플릭스에서 25억 달러(약 3조 30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 미국 첨단 기업들도 국내에 수소와 반도체 시설을 짓는 19억 달러(약 2조 5000억 원)의 투자를 결정해 윤 대통령은 방미 이틀 만에 44억 달러(약 5조 8000억 원)의 ‘세일즈 외교’ 성과를 거뒀다.
윤 대통령은 24일(이하 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의 앤드루스공군기지에 도착한 뒤 백악관 맞은편의 정부 영빈관인 블레어하우스에 여장을 풀었다. 이어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대표를 접견하고 25억 달러의 투자를 확정했다. 윤 대통령은 “서랜도스 대표께서는 넷플릭스가 앞으로 4년간 K콘텐츠에 25억 달러, 약 3조 3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발표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서랜도스 대표가 넷플릭스와 한국 콘텐츠 기업의 관계가 마치 한미 동맹과 같다고 말했는데 (이에) 100% 공감한다”며 “한미 동맹은 자유를 수호하는 가치 동맹인데 자유를 지키고 확장하는 데는 문화가 필수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서랜도스 대표도 “앞으로 4년간 한국 드라마, 영화, 그리고 리얼리티쇼의 창작을 도울 것”이라며 “이 금액은 저희가 한국에 진출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투자한 총금액의 2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의 문화, 한국의 창작물들이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을 보는 게 정말로 환상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에서 나온 이야기들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문화적인 시대정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라고 평가했다.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를 자처하고 세일즈 외교에 나선 윤 대통령은 방미 이틀째인 25일 한미 기업이 참여하는 투자 신고식을 열고 미국 첨단 기업 6개사로부터 수소와 반도체, 친환경 생산 시설 등을 국내에 설립하는 19억 달러의 투자를 추가로 유치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아 26일 백악관에서 개최되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조 바이든 대통령과 확장 억제 관련 별도의 성명을 발표한다. 북한의 핵 공격 시 미국이 핵 보복한다는 방침을 공식 문서로 명시하고 대한민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제 안보 공약을 ‘한국판 핵 공유’ 수준으로 강화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이번 정상회담과 관련해 “확고한 가치 동맹의 토대 위에서 경제, 첨단 기술, 사이버, 안보, 문화 콘텐츠 등 다방면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알링턴 국립묘지를 참배하며 이튿날 일정을 시작했다. 알링턴 묘지는 한국전 참전 용사와 1·2차 세계대전, 베트남전에서 전사한 용사들이 안치된 곳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