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야당·환경단체에서 제기하고 있는 ‘용산어린이정원 토양 오염 논란’에 대해 “전혀 사실과 다른 주장”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용산어린이정원에 대해 최근 6개월간 세 차례 대기 중 오염도를 측정하는 환경 모니터링을 시행한 결과 대기 환경 안전성 기준을 만족했다”고 7일 밝혔다.납·구리·벤젠·톨루엔 등 각종 유해물질을 측정한 결과 모두 기준치를 밑돌았다는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어린이들이 뛰노는 이태원·삼각지 어린이공원이나 불특정 다수의 국민들이 상시 이용하는 국립중앙박물관·용산역과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했다”고 했다.
지난해 정부는 용산 미군기지 부지 중 장군 숙소 단지와 스포츠필드 등으로 쓰인 약 30만㎡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개방했다. 그러나 2021년 한국환경공단이 미군과 함께 작성한 ‘환경조사 및 위해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스포츠필드에선 석유계 총탄화수소(TPH)가 기준치의 36배를 넘었고 장군숙소 구역에서도 TPH와 아연이 각각 기준치의 29.3배, 17.8배 검출됐다.
야당과 환경단체에선 “토양 정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산어린이정원을 개방했다”며 반발했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지난해에는 오염 위험 때문에 ‘2시간만 지내라’는 조건으로 개방한 지역을 포함한 곳에 15㎝ 흙을 덮어 다시 개방한다”며 “안전한지 아닌지 윤석열 대통령에게 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일각에서 용산어린이정원 전체가 심각하게 오염돼 있고 아무런 조치가 안돼있는 것처럼 왜곡하며 불안감을 조상하고 있다”며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른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에서 ‘작년 정부가 2시간만 이용 가능하다고 한 지역을 다시 개방한 것’이라는 잘못된 정보를 언급하고 있으나 이는 정부 설명을 곡해한 것”이라며 “정부는 이용시간을 제한한 바 없으며 환경안전성 분석을 통해 성인과 어린이 모두 개방 시간 내내 온종일 이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재확인한 바 있다”고 했다.
국토부와 환경부는 정원 부지에 흙을 15㎝ 이상 덮어 기존 토양과 격리했다는 입장이다. 다른 물질이 발견된 지역도 개방 동선에서 제외하거나 아스팔트·산책로·색상매트 등으로 포장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공기 중 오염도를 측정하는 환경모니터링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