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과 러시아의 밀월 분위기가 노골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고위급 회담에서 미국 등 서방 국가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양국 간 경제 협력 강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G7 정상들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고 중국의 위협에 공동전선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서도 중러 양국은 “국제 평화를 저해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중국은 G7 국가들이 대만 문제를 거론한 데 대해 ‘내정 간섭’이라고 경고했고 러시아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불러들여 ‘선동쇼’를 벌였다고 비판했다.
22일 중국 외교부 등에 따르면 미하일 미슈스틴 총리가 이끄는 러시아 대표단이 23~24일 중국을 공식 방문한다. 미슈스틴 총리와 알렉산드르 노바크 부총리 등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찾아 양국 관계의 실무 협력과 공동 관심사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 타스통신은 21일(현지 시간) 미슈스틴 총리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만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19일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양국 관계, 실질적 협력,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나 시 주석과의 만남은 언급하지 않았다.
방중 러시아 대표단에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 국영은행 스베르방크의 헤르만 그레프 최고경영자(CEO), 통신 업체 로스텔콤의 미하일 오세옙스키 CEO 등도 포함됐다.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 제재를 강화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이에 굴하지 않고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평등과 상호 이익을 바탕으로 러시아를 포함한 국가들과 무역·협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중국은 국제법을 준수하지 않거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일방적 제재와 장기 사법권에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중국과 러시아의 교역 규모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는 4월 중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8.6% 늘어난 710만 톤에 달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G7과 서방 국가들은 지난해 12월 대러 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산 원유에 상한가를 설정했고 올해 2월에는 석유 제품에도 상한을 걸었다. 그럼에도 중국은 러시아산 원유를 사들이며 사실상 러시아의 전쟁 비용을 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에너지 수출길이 막힌 러시아도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올 초 중국과 극동 경로를 활용한 가스 공급에 관한 정부 간 협정을 체결하고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연간 최대 500억 ㎥ 상당의 가스를 공급하는 ‘시베리아의힘-2’ 가스관 건설도 논의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사용권을 163년 만에 확보하기도 했다.
중국·러시아 양국은 G7 정상회의에 대한 반발도 이어갔다. 중국 외교부는 21일 다루미 히데오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들여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강하게 항의했다. 이에 대해 일본도 반박에 나섰다. 일본 매체에 따르면 다루미 대사는 “중국이 행동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G7은 공통의 우려 사항을 언급하는 것이 당연하고 앞으로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일본이 G7 순회 의장국으로서 관련 국가와 결탁해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다”며 “중국의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하고 국제법의 기본 원칙을 어긴 것으로 중국은 이에 강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시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러시아도 “G7 국가들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일본으로 초청해 반러시아·반중국 정서를 부추기고 있다”고 반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