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의료원 영상의학과 판독실. 이날 오전 촬영한 흉부 엑스레이 검사 결과가 두 개의 모니터에 나란히 떠있다. 왼쪽 모니터 속 영상에는 오른쪽과 달리 빨간색 병변과 함께 23%라는 수치가 선명하게 표시됐다. 송화영 영상의학과 과장(영상의학과 전문의)이 흉부 엑스레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328130) 인사이트 CXR'을 활용해 판독 소견을 작성하는 모습이다.
송 과장은 “오른쪽 늑골(갈비뼈) 3번과 4번 인근 폐 부위에 23%의 확률로 의심 병변 1개가 존재한다는 의미”라며 “병변위치가 애매해 엑스레이 영상만으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때 AI 분석 결과를 참고해 추가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루닛 인사이트 CXR은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인공지능(AI)으로 실시간 분석해 의료진의 판독을 돕는 진단 보조프로그램이다. 폐 결절은 물론 폐가 쭈그러 들어있는 무기폐, 폐 조직에 칼슘이 비정상적으로 침착되어 있는 석회화, 심장비대, 폐경화, 섬유화, 종격동 비대, 흉수, 기흉 등 흉부 엑스레이 영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10가지 비정상 소견을 97~99%의 정확도로 잡아낸다.
결핵 선별검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질병을 진단하려면 영상검사 뿐 아니라 과거 병력과 동반 질환,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송 과장은 “병변이 존재할 가능성을 AI가 판단해 확률 값으로 제시하고 판독자가 설정한 역치(threshold) 값에 따라 표시 색깔도 달라진다"며 “육안으로 걸러내기 어려운 병변에 대해 정량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선상에 있는 질환을 감별할 때 정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AI를 통한 영상 판독은 이처럼 현장에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별도 수가가 잡히질 않는다. 민간병원들보다 빠듯한 예산으로 운영되는 공공병원들은 더욱 도입하기 힘든 구조다. 데모 버전을 쓰며 도입을 고민하던 성남의료원은 보건복지부가 AI 등 첨단 의료기기를 도입해 공공의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작년 말 진행한 지역거점공공병원 기능보강사업의 수혜를 입었다. 성남시의료원을 비롯해 전국 10개 지방의료원이 루닛 인사이트 CXR과 함께 유방암 진단을 보조하는 ‘루닛 인사이트 MMG’ 도입을 진행 중이다.
의료 AI 등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취약성이 드러난 가운데 공공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지역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루닛은 AI 의료기술과 클라우드 플랫폼을 융합한 AI 스크리닝센터를 전국 보건소에 마련하는 모델도 선제적으로 제시했다. 각 보건소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엑스레이 기기에서 촬영한 흉부 영상을 AI 기술이 실시간 분석해 의료진이 주요 폐질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식이다. 검진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건강관리 프로그램 또는 지역사회 내 상급종합병원과 연계해 치료할 수 있다.
송 과장은 “병원 입장에서는 새로운 시스템을 들여올 때 비용 효과를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유용성과 별개로 도입이 쉽지 않다”며 “AI 영상분석 등 혁신 기술이 공공병원에 도입되면 저소득층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환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궁극적으로 공공의료 본연의 취지에도 부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