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13일 각의에서 2030년까지 대형 상장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을 30% 이상으로 늘리는 목표를 명기한 ‘여성 활약과 남녀 공동 참가의 중점 방침’을 결정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 방침에 따르면 도쿄증권거래소의 대형 상장사들로 구성된 프라임 상장 기업에 대해 2025년까지 여성 임원을 한 명 이상 선임하도록 노력하고 2030년에는 여성 임원 비율을 30%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기로 했다.
미국과 유럽에 비해 떨어지는 여성 임원 비율을 끌어올려 남녀평등을 실현하고 여성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다. 내각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말 시점에 프라임 상장 기업 가운데 여성 임원 비율이 30%를 넘는 곳은 2.2%에 그쳤다.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곳도 18.7%나 됐다. 중점 방침은 “국내외 투자가가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을 중시하고 있다”면서 “일본 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한 과제”라고 명기했다.
정부는 올해 안에 도쿄증권거래소 규칙에 여성 기용의 목표와 기업의 행동 계획을 책정하도록 했다. 이 방침에서는 또 남녀 간 임금격차 정보 공개 의무를 기존 상시 고용 직원 300인 초과 기업에서 100인 초과 기업으로 넓히는 것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육아휴직 급여를 강화하고 2세 미만 자녀를 키우는 단축 근무자도 급여 실수령액이 줄지 않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일본은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의 세계 성별 격차 평가에서 146개국 중 116위를 차지할 정도로 남녀 간 격차가 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