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아기에게 말을 걸 때 높은 톤의 목소리를 사용하는 것처럼 돌고래도 어린 개체와 소통할 때 ‘아기 말투’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현지 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햄프셔 칼리지·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등 소속 연구팀은 암컷 큰돌고래의 소리를 분석한 결과 새끼와 함께 있을 때 높은 톤의 소리로 소통한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1984~2018년 미국 플로리다주 새러소타만 인근에 사는 암컷 큰돌고래 19마리를 추적 관찰했다.
돌고래는 개체마다 고유의 휘파람 소리를 내면서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진은 약 30년 동안 포획과 방류를 반복하며 이들에게 특수 마이크를 부착한 뒤 '휘파람' 소리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후 이들 큰돌고래가 새끼와 있을 때, 성체와 있을 때, 혼자 있을 때 등 각 상황에 따라 어떤 휘파람 소리를 내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암컷 큰돌고래는 새끼와 소통할 때 평소보다 더 높은 주파수의 휘파람 소리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휘파람 음역도 다른 상황과 비교해 더 넓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소속 생물학자 피터 타이악은 "연구 대상이었던 암컷 (큰돌고래) 19마리 모두가 이런 현상을 보였다"고 전했다.
큰돌고래가 새끼에게 이 같은 '아기 말투'를 쓰는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처럼 높은 톤의 휘파람 소리를 활용하면 새끼가 새로운 소리를 발음하는 법을 쉽게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새끼의 관심을 끄는 데도 음이 높은 소리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 영유아에게도 적용되는 사항이다.
큰돌고래 외 암컷 붉은털원숭이 등 동물도 새끼에게 이와 같은 '아기 말투'를 사용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돌고래는 발성 학습과 언어 진화 연구에 있어 훌륭한 동물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