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은 박수형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만성 염증 질환인 원형탈모증의 발병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형탈모 환자의 피부 조직·혈액과 원형탈모를 유도한 쥐의 피부·림프절을 분석했다. 이어 ‘가상기억 T 세포’에서 유래한 새로운 면역세포군이 원형탈모증 발병 핵심 원인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가상기억 T 세포는 다른 T세포와 달리 자극을 받지 않고도 기억면역세포와 비슷한 특징을 갖는 세포다. 바이러스·박테리아·기생충 감염을 제어하고 암세포를 없애는데 작용한다고 알려졌고, 염증과 관련한 여러 단백질인 사이토카인 반응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연구진은 피부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IL-12·15·18)이 가상기억 T세포를 활성화해 높은 세포독성 능력을 갖는 면역세포군으로 분화하고, 이렇게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수용체(NKG2D)를 통한 세포독성 작용으로 모낭세포를 파괴해 원형탈모증을 유발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사이토카인과 수용체(NKG2D) 기능을 억제해 원형탈모증 발생을 막을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는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석준 중앙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가상기억 T 세포가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자극 때문에 활성화된 후 오히려 염증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보여준 연구 결과다”며 “다양한 만성 염증 질환 발생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