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혁명의 도래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38개 회원국에서 전체 일자리의 4분의 1 이상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 시간) OECD의 2023년 고용 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OECD 국가 평균 노동력의 27%가 자동화될 위험이 높은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AI전문가들이 ‘가장 쉽게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로 규정한 100여 가지의 기술 및 능력 가운데 25개 이상을 활용하고 있는 직업의 경우 대체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됐다. 특히 동유럽 국가의 경우 해당 직종 종사자들의 비중이 높아 미래 실직 위기가 큰 지역으로 꼽혔다.
한편 근로자들 역시 급속한 자동화에 따라 노동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불안을 느끼는 추세다. OECD 7개국 내 제조업·금융업 기업 2000곳에서 근로자 5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5명 중 3명은 향후 10년 내로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는 해당 설문 조사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AI가 폭발적 인기를 끌기도 전에 진행됐다며 현재는 근로자들의 위기감이 더욱 커졌을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AI의 등장이 아직 일자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면서도 이는 혁명이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AI의 출현으로 인한 기회도 존재한다. 고용불안에도 불구하고 이미 AI를 사용하는 근로자의 3분의 2는 자동화로 인해 업무가 덜 위험하거나 지루해졌다고 응답했다.
마티아스 코만 OECD 사무총장은 기자 회견에서 "AI가 궁극적으로 직장 내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AI 혜택이 위험보다 더 클지는 우리가 취하는 정책 조치에 달려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근로자들이 변화에 대비하고 AI가 가져올 기회로부터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