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요한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가 23일 국민의힘 의원들의 공부 모임 ‘국민공감’ 강연에서 “한국인이 타협을 잘 못하고 단합을 잘하지 못하는데 좀 더 발전하려면 이런 점을 고쳐야 한다”고 했다.
인 교수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공감 모임에서 ‘선진국으로 가는 길-우리가 잃어버린 1%’를 주제로 강의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19세기 미국에서 온 유진 벨 선교사의 증손자인 인 교수는 2012년 대한민국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특별귀화 1호의 주인공이 됐다. 인 교수 가문은 4대째 대를 이어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인 교수는 “미국 의회가 상·하원으로 출발했는데 첫 단추가 대타협이었다”면서 “한국말로 타협은 ‘내가 손해 보는 것’인데 미국에서는 ‘내가 손해 보고 이기는 것’이다. (한국이) 그 문화를 좀 고쳐야 하고 여러분(국회)도 고쳐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한국은) 단합을 잘하지 못한다. 주류·비주류 알죠”라며 “병원에서도 선거를 하면 경기고·용산고·제물포고도 대단한데 저는 외국인학교를 졸업해서 줄 설 데가 없었다. 그런 게 별로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인 교수는 한국인이 고쳐야 할 점으로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배타적이고, 법과 질서를 지키지 않는 것”을 꼽으며 “비행기 안 뜬다고 데모하는 사람은 한국인밖에 없고, 한국은 미워하는 사람을 제쳐버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인 교수는 “한국 사람들이 스스로를 과소평가하는데 이건 추방돼야 할 나쁜 생각”이라고 했다.
인 교수는 강연 후 질의응답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방문 때 영어 연설을 하고 영어로 ‘아메리칸 파이’ 노래를 부른 것을 언급하며 “대통령이 영어를 그렇게 잘하는지 몰랐는데 정말 잘한다. 영어가 거의 완벽하다”고 말했다. 또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윤 대통령이 부른) ‘아메리칸 파이’다. 이 노래는 미국 사람 고유의 상징성을 가진 노래로 미국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노래”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