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지자체들이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유치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대표적인 전력 다소비 산업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를 지방에 분산 배치하는 기반이 마련되면서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국가균형발전 등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 지자체들의 분석이다.
2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올 6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공포 이후 각 지역에서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분산법은 정부가 지방에 들어서는 데이터센터에 전기 시설 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것으로, 1년 후 시행된다. 이럴 경우 주로 수도권에 자리해온 데이터센터가 지방으로 분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라남도는 태양광·풍력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남에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데이터센터 외에 해남 솔라시도기업도시 재생에너지 글로벌 데이터센터(10조 원), 순천 NHN 클라우드 데이터센터(3000억 원), 광양 KT 클라우드 데이터센터(5200억 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올 10월 개소를 앞둔 NHN의 ‘광주 국가 AI 데이터센터’에서는 아시아 최초로 정식 도입되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H100 구축 작업이 진행 중이다. H100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만큼 NHN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도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을 통해 부유식 해상풍력 및 수소 등 새로운 발전원을 개발하고 관련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는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반도체·2차전지·데이터센터 등의 기업 유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원도와 춘천시는 ‘춘천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내에 데이터센터 7곳을 유치할 계획이다. 목표를 달성하면 춘천에는 기존에 구축된 3곳(네이버·삼성SDS·더존비즈온)을 포함해 데이터센터 총 10곳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는 투자 유치 활동에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을 적극 활용해 반도체 공장,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기업을 유치하고 에너지 신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경북이 특히 공을 들이고 있는 사업은 경북형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건립이다. 도청 신도시가 있는 예천군 호명면에 설립될 이 데이터센터는 올 하반기 착공될 예정이다.
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분산에너지특별법을 토대로 지역의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데이터센터 유치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도 강화되고 있는 만큼 관련 신산업 창출을 선점해 고용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