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의 3대 지표인 생산·소비·투자가 6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0.7% 줄면서 석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설비투자는 8.9% 줄어 11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소매 판매도 3.2% 줄면서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3개월 연속 상승, 반도체 수출 물량 반등 조짐, 서비스업 회복 등을 근거로 기조적인 경기 회복 흐름을 자신하고 있다. 7월의 성적 부진은 여름철 집중호우와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주요 지표의 둔화 강도가 예상보다 훨씬 더 큰 상황에서 지나치게 안이한 인식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우리 경제의 주력인 수출과 제조업 침체가 우려된다. 제조업 출하는 반도체·전자제품 등에서 줄어 전월 대비 7.8% 감소했다. 특히 중국 경기 부진 등의 여파로 수출 출하가 14.5% 감소하면서 35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반도체 출하도 전월 대비 31.2%나 급감하며 석 달 만에 다시 감소했다. 제조업체들의 판로가 막히면서 재고율은 11.6%포인트 급등했다. 더구나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미진한 가운데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와 금융 불안 등의 리스크가 가시화하면 각종 지표는 더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이제라도 비상한 각오로 내수·수출·투자 등 전방위에 걸쳐 신속한 맞춤형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우선 재정 건전성 확보에 집중하더라도 예산을 효율적으로 편성해 내수 부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수출에 이어 내수마저 둔화할 경우 우리 경제는 하반기에 개선되는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은커녕 더 나빠지지만 않아도 다행인 처지로 몰릴 수 있다. 수출의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을 이용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유럽연합(EU)·동남아 등으로 수출 지역과 품목을 다변화하는 한편 유망 틈새 종목 발굴에 나서야 한다. 또 정부는 규제 혁파, 초격차 기술 확보 등을 통해 기업들의 투자 심리 회복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정치권도 하루빨리 극한 대립을 청산하고 노동·교육 등 구조 개혁, 경제 활력 제고와 민생 회복에 힘을 모아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