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 중 부동산 공급 대책을 내놓는다. 올해 주택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 급감하자 주택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처방전 마련에 나선 것이다. ★관련 기사 4면
최상목 경제수석은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부동산 공급이 어려운 측면이 있어 이달 부동산 공급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수석은 “민간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로, 공공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로 공급이 과거보다 위축됐다”며 “민간과 공공 두 개로 나눠 공급 위축 요인을 어떻게 풀어주면서 공급을 촉진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가격) 하락 폭이 컸던 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상승세를 보이는 지역들이 있다”며 “하지만 (금리가 높아 주택) 거래량 측면에서 보면 예년의 50∼60%밖에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시장 수급에 따라 움직이는 부동산 시장의 정상화 과정”이라며 “지금은 상방과 하방이 모두 열려 있는 강보합세”라고 진단했다.
최 수석은 경기가 하반기에 더 좋아지는 ‘상저하고’ 전망을 유지했다. 특히 “9·10월에는 (경기의) 회복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7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동반 하락한 이유에 대해서는 “반도체 감산, 기상 요인,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일시적 요인이 합쳐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9월 위기설에 대해 “위기라고 볼 상황은 절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또 “외국인 투자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로 1년 계산해보면 364억 달러로 연간 기준 최대 유치 금액(304억 달러·2022년)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