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최근 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학교의 수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이와 함께 노후화된 도심에서 도시정비사업이 이뤄지면서 기존과는 다른 모습의 신축 학교들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 점점 과밀화되는 도시 속에서 아이들이 더욱 압박받는 교육 환경까지 고려해 학교 설계의 지향점도 많이 달라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한국건축문화대상 사회공공 부문 대상을 수상한 신길중학교(2021년 3월 개교)는 학교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한 설계로 주목을 받았다. 통상 학교는 거대한 운동장을 지나 도달하는 박스형의 4층 건물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이를 과감히 깨고 2층짜리 집들이 모여 있는 동화 속 마을처럼 교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을 갖췄다.
신길중학교의 설계 의도는 단순하다. 과거 빌라촌과 단독주택 밀집 지역이던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은 신길뉴타운으로 거듭나면서 20층 이상 규모의 고층 아파트들이 빽빽이 들어섰다. 건축가는 획일적이고 거대한 도시 스케일의 아파트에서 사는 학생들을 위해서 학교는 위압적이지 않은 집처럼 작고 낮은 모습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집’과 같이 작고 친밀함을 느낄 수 있는 학교 공간을 만들어주자는 것이 설계 의도였다.
설계를 맡았던 이집건축사사무소의 이현우 대표는 “학교 공간을 기능 중심적인 교습 공간이 아니라 집과 같이 정서적인 편안함과 즐거움을 주는 생활 공간으로 만드는 것에 집중했다”며 “신길뉴타운 이전의 마을처럼 오밀조밀한 건물과 마당이 어우러진 우리 기억 속의 ‘집’의 모습이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이런 관점으로 학교 건축 프로젝트에 접근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건축가가 할 수 있는 소박한 역할”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설계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학교는 주변 도시 스케일의 아파트와 달리 휴먼 스케일의 집 크기로 잘게 나뉘어졌다. 하나의 교실이 마치 하나의 집 같은 느낌을 주고 교실과 교실은 이웃집처럼 맞닿아 있다.
마을처럼 조화로운 동시에 다양한 모습도 갖도록 했다. 삼각지붕·평지붕을 섞었고 교실 천장도 이에 따라 달라진다. 마감재도 붉은 점토 벽돌과 백색의 외단열 시스템, 탄화 코르크 보드, 시멘트 벽돌 등을 섞어 다채로운 풍경을 연출한다. 마을과 같은 다채로움은 주변의 획일적인 풍경과 대비돼 낯설면서도 친숙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신길중학교의 학교 부지는 전면 도로가 낮고 뒤쪽 인접 부지는 높은 야트막한 둔덕의 지형을 가지고 있다. 건축가는 이를 이용해 학교 건물을 앞에서부터 2·3·4층의 테라스하우스처럼 배치했다. 이 덕분에 등하교 시 마주하는 학교의 모습은 마치 2층 높이의 야트막한 이웃집들과 가로수들이 늘어선 편안한 동네길처럼 보인다. 실제 전면 도로의 눈높이에서 학교는 지형 단차의 절묘한 각도로 2층 높이까지만 보인다.
기존의 전형적인 학교는 운동장과 교사동으로 이분화된 공간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먼 운동장을 쉬는 시간에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신길중학교 내외부에는 중정을 곳곳에 배치해 학생들이 바로 교실 앞에서 자연과 교감할 수 있도록 했다. 마당을 끼고 있는 집처럼 교실 사이사이에 만들어진 작은 마당에는 자작나무·대나무·낙엽수·꽃나무 등이 심어져 있어 학교 안에서도 사계를 느끼고 하늘을 볼 수 있다. 중정들은 단독주택의 마당 정도 크기로 나뉘어 있고 이와 같은 옥외 공간은 넓은 문과 투명한 창 또는 폴딩도어로 내부와 연계되고 확장된다.
켜켜이 중첩돼 배치된 중정과 내부 공간은 내외부의 경계를 느슨하게 한다. 개방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해서 학교생활을 안전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신길중학교는 학교에서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금단의 공간’인 옥상 공간을 사각지대가 아닌 각층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고 교무실이나 교실에서 항상 관찰될 수 있는 곳으로 설계했다.
과거의 전형적인 학교는 폐쇄적인 공간과 일차원적인 단일 동선을 가졌다. 이와 달리 신길중학교에서는 내외부 또는 위아래로 막힘없는 다양한 순환 동선을 갖도록 했다. 각 층의 내외부를 가로지르는 순환 동선은 마치 마을의 아기자기한 골목길과 같다. 학생들은 중정을 가로질러서 건너편 홈베이스나 교실로 갈 수 있고 옥외 계단으로 각층 옥상 마당을 오르내릴 수도 있다. 안팎으로 계단과 복도를 많이 배치한 것도 학생들이 다양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오밀조밀 다니며 재미있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로들은 주변으로 열려 있어 항상 밝고 안전한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획일적이지 않은 동선과 개방성은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다양한 이야기, 각기 다른 체험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건축가는 학교가 더 이상 그 지역 커뮤니티와 동떨어진 ‘도심 속 외딴섬’이 아니기를 바랐다. 신길중학교의 2층 이상은 교실 등이 있는 학습 공간이고 1층은 학생·교사·학부모·주민들의 소통과 교류를 위한 모두의 포디움 공간이다. 도서실을 중심으로 시청각실과 동아리실·식당·행정지원실·컴퓨터실 등이 배치돼 있다. 층별 조닝으로 시간대별 운영 방안에 따라 적절히 분리 및 연계가 이뤄질 수 있다. 포디움의 복도와 실들 사이사이 배치된 크고 작은 중정들은 볕 쬐고 바람 쐴 수 있는 숨구멍들이다. 이곳은 아이들이 오손도손 정답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아담하고 아늑한 마당이나 조경 공간으로 실내와는 투명한 유리로 구분돼 열려 있다.
신길중학교는 기존과 다른 공간 구조 유형의 학교다. 준공 즈음에 신길중학교의 교직원들은 발령 직후 낯선 공간 구조에 적응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기존과 다른 공간 구조의 학교에 대한 기대감이 교차했다고 한다. 재개교한 뒤 2년 반이 지난 지금 신길중학교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노력으로 점점 다채로워지고 있다. 댄스연습실이 생기는 한편 옥상 마당도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모아 각각 주제가 있는 테마 마당으로 재조성되고 있다. 이 대표는 “어떤 공간 구축의 완결과 진화는 결국 사용자 노력의 결과이자 몫”이라며 “어떤 건축물이든 준공된 직후의 무색무취한 건축 공간은 실제 사용자들의 자취로 비로소 생활 공간으로 다채롭게 변모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