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과 만나 주요 광물 개발을 포함한 경제 협의체 구축에 나섰다.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이 센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판도를 미국 주도로 재편하기 위한 취지다. 첨단 반도체부터 광물까지 미국의 중국 견제가 본격화하고 있다.
19일(현지 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가 열리고 있는 뉴욕에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 정상과 첫 ‘C5+1’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미국은 C5+1을 외교 기능 외에 경제 협의체로도 육성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이를 위해 C5+1 외교 플랫폼을 보완할 민간 부문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무역과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10월 중 C5+1의 장관 회의를 개최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중앙아시아의 풍부한 광물자원 개발과 광물 안보를 위해 ‘C5+1 중요 광물 대화’ 출범을 제안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미래 에너지 환경을 뒷받침할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광물) 공급망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한 데 따른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이 지난달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통제를 시작하며 희귀 자원을 무기화하는 움직임을 보인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번 회의 자체가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장 시도를 차단하는 성격이 강하다. 이날 C5+1에 참여한 중앙아시아 국가는 올 5월 중국이 정상회담을 했던 5개국과 일치한다.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실크로드의 출발점이던 산시성 시안에서 중앙아시아 5개국과 첫 대면 정상회의를 열고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해상 실크로드)를 강화하기로 했다.
미국은 반도체 등 첨단 분야에서도 대중국 압박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이날 하원 과학우주기술위원회의 반도체법 1년 평가 청문회에서 반도체법 지원금을 받는 기업의 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이른바 ‘가드레일’의 최종 규정과 관련해 “수 주 내로 완성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원금 중 단 1센트도 중국이 우리를 앞서가는 데 보태지지 않도록 바짝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또 미국의 수출통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화웨이가 최신 스마트폰에 7㎚(나노미터·10억분의 1m) 반도체를 탑재한 점에 대해 “진행 중인 조사에 대해 말할 수는 없지만 이건 약속하겠다”면서 “어떤 기업이든 우리 수출통제를 우회했다는 증거를 찾을 때마다 조사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