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 이후 비명계를 겨냥한 강성 지지층의 막말 공격 등 괴롭히기가 점입가경 수준으로 거세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친명계인 홍익표 원내대표는 비명계에 대한 당내 징계 움직임에 대해 “제가 직접 언급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말해 친명계와 비명계 내홍 속에 딴청만 피운다는 논란을 사게 됐다.
홍 원내대표는 3일 취임 후 가진 첫 기자간담회에서 당내 분열에 대한 ‘원칙과 기준’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그는 “반목과 분열에는 단호하게 대응하고 차이와 다름에는 품이 넓은 민주당으로 나아가겠다”면서 “총선 공천까지 포함해 모두가 인정하는 원칙과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강·기율을 강화할 생각”이라면서 “일부 의원(의 발언)과 당원의 문자메시지 등 당내 상호 존중을 인정하는 태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부연했다.
홍 원내대표가 강조한 ‘기강’에는 비명계를 향한 경고의 메시지도 포함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전히 (이 대표에 대해) ‘당 대표직을 내려놓으라’고 얘기하는 분들도 있다”고 비명계를 겨냥하면서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당 대표이기 때문에 개별 의원이 그런 것을 요구할 권한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에 심각한 정치적 부담을 주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강을 잡아야 된다”고 주장했다.
‘개딸(개혁의딸)’을 비롯한 이 대표 강성 지지자들은 비명계에 대한 막말 공세 등 압박 강도를 다시 높이고 있다. ‘재명이네 마을’ 등 사이트에는 가결표 추정 인물들에 대한 비판 게시글이 빗발쳤다. 개딸들은 3일 박용진 의원의 지역구 사무실 인근에서 시위를 벌이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박용진 니가 사람이냐’는 사진을 돌리기도 했다. 이원욱 의원은 2일 페이스북에 추석 연휴 기간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받은 문자를 공개하면서 “참담하다”고 토로했다. 문자 내용에는 “해당 행위 하는 쓰레기” “꺼져. 수박 아웃” 등 원색적인 비난 표현이 난무했다.
홍 원내대표가 이러한 강성 친명들의 목소리를 얼마나 잠재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원내운영수석부대표와 원내대변인에 친명 강경파 의원들을 선임하는 등 원내지도부의 친명 색채가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홍 원내대표는 일부 친명계 사이에서 나오는 체포동의안 ‘가결파’ 징계 목소리에 대해서도 “윤리심판원 등에서 원칙과 기준에 따라 사실에 기초해 처리하면 된다”며 “원내대표로서 직접 언급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박광온 전 원내대표가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언급했던 당 통합 기구 설치에 대해서는 “재검토하겠다”면서 “필요하다면 만들지만 필요하지 않다면 굳이 옥상옥처럼 만들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홍 원내대표는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를 비롯한 김행·신원식·유인촌 장관 후보자 등의 인사 철회와 인사 검증 담당자 책임론을 주장했다. 그는 이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과 관련해 “전반적인 당내 여론은 매우 부정적”이라며 “이런 인물들을 계속 보내면 제2·제3(의 인물)이라도 부결시킬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