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운전자 10명 중 3명이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과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가 지난달 11~22일 65세 이상 고령자 6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자 교통안전 및 사고 인식' 조사에 따르면 운전면허 소지 중인 응답자 419명 중 31.7%(133명)가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고 있다.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는 이유로는 '교통사고 위험과 불안감'이 43.6%(58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노화 등 건강 문제 37.6%(50명) △대중교통으로 대체 14.3%(19명) △가족의 권유 13.5%(18명) △차량 관리 및 비용 문제 10.5%(14명) 등이 뒤따랐다.
운전면허 반납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286명)는 '시간 단축 등 이동 편의 때문에'가 45.8%(131명)로 가장 많았다.
△'충분히 안전 운전이 가능하다고 생각해서'는 35.0%(100명) △'긴급 상황에 대비해서'는 24.1%(69명)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은 22.4%(64명)로 나타났다.
개정 예정인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따라 통일되는 '고령 운전자 표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다수였다.
차량 후면에 고령 운전자 표지를 부착하겠냐는 질문에 면허 소지자의 63.7%(267명)가 부착 의사를 밝혔다. 표지 부착의 배려 운전 유도 효과에 대한 질문에는 64.9%(272명)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고령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겪는 안전 위협 요인으로는 '자전거·전동킥보드·오토바이 등의 횡단보도 침범'이 37.7%(243명)로 가장 많았다.
△'돌발 상황에 신체 반응 속도가 늦어서'가 24.3%(157명) △'예측 및 급출발 차량'이 21.4%(138명) △'정지선 위반'이 19.2%(124명) △'보행 시간 내 건너가기 어려움'이 18.8%(121명)로 집계됐다.
도로교통공단은 오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서울마당에서 설문 결과 발표와 함께 고령 운전자와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자 '어르신 교통사고 ZERO 캠페인' 행사를 개최한다.
공단 관계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어르신 교통안전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고령 운전자 표지, 면허 반납 장려, 노인보호구역 지정 등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고령 보행자와 고령 운전자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는 교통문화가 확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