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재 국회 사무총장이 6일 국민연금·교육개혁·인구위기 등의 현안을 다룰 미래위원회의 상설 상임위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사무총장은 6일 국회 내 모임공간인 ‘강변서재’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국회 상임위원회에 미래위원회를 상설화해 정책을 결정할 시스템이 보태지면 문제를 해결하는 국회로 전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국회는 미래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금개혁, 기후위기, 인구위기, 교육개혁, 세계질서, 벤처·스타트업, 지방소멸까지 7가지 주제로 국가 현안 대토론회를 열었다. 국회는 토론회에서 나온 국회, 정부, 지자체, 학계 의견 역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사무총장은 또 “내년부터는 AI 시스템에 의해 데이터 기반의 정확한 정책 결정이 일어날 수 있는 길로 나아가려 한다”고도 밝혔다. 주제별로 국회에서 논의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화한 뒤 AI를 활용한 분석·요약 작업을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논의된 모든 자료를 AI가 분석해 쟁점과 다른 나라 사례가 무엇인지 데이터에 기반해 국회에 제공하면 국회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