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들어 한일 정상의 셔틀 외교가 복원되는 등 양국 관계가 빠르게 개선된 가운데 한국에 호감을 가진 일본인들이 11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일 양국의 민간 연구소인 동아시아연구원과 ‘겐로NPO’는 ‘제 11회 한일 국민 상호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양국에서 지난 8월, 9월 각각 성인 1000명 정도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다.
설문에 참여한 일본인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상이 ‘좋다’거나 ‘대체로 좋다’고 답한 응답자는 37.4%로 작년 조사치(30.4%)보다 7.0%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두 연구소가 2013년부터 연례적으로 벌여온 조사에서 최고치를 기록한 2016년의 29.1%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에 대한 인상인 ‘좋지 않다’라거나 ‘대체로 좋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일본인 응답자는 작년 40.3%에서 32.8%로 줄었다. 나머지는 ‘어느 쪽도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이에 비해 일본에 대한 인상이 ‘좋다’거나 ‘대체로 좋다’고 답한 한국인 비율은 28.9%로, 지난해의 30.6%보다 소폭 낮아졌고 반대로 부정적인 응답률은 52.8%에서 53.3%로 약간 높아졌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양국 국민의 호감도 추이가 다른 이유에 대해 “상대국 인상을 결정하는 변수 중에는 양국 정부의 관계 개선에 대한 태도가 있다”며 “한국인들이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문제 해법에 대한 지지가 높지 않은 가운데 한일 양국 정부의 태도에 불만을 갖고 있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