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최근의 국채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흐름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11월에는 금리를 다시 한번 동결할 것이라는 신호라고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해석했다.
파월 의장은 19일(현지 시간) 뉴욕경제클럽 간담회에서 “불확실성과 리스크요인들, 연준이 지금까지 단행한 긴축을 고려해가며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책을 어느정도 강화해야 할지, 또 얼마나 오랫동안 제약적인 수준으로 정책을 지속할지는 앞으로 나오는 지표와 전망의 변화, (과잉긴축과 과소긴축) 리스크 사이의 균형을 봐가며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무엇보다 최근 10년 물 국채 금리 상승 추세에 따라 금융 환경이 긴축되고 있다고 봤다. 파월 의장은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분명히 금융 여건이 긴축되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금융여건을 긴축시키기 위한 것인데, 국채 금리가 오르면서 긴축 적인 금융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시중 금리가 올라 굳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아도 경제를 누르고 있다는 의미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모기지나 학자금 대출, 자동차 대출 등 미국 시중 금리의 기준이 된다. 10년물 국채는 전날 4.902%로 2007년 7월 이후 처음으로 4.9%를 돌파한 뒤 이날 4.987%를 기록해 5%의 턱밑까지 올라왔다. 파월 의장은 최근의 시중 금리 급증이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을 대체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지켜보자(at the margin)”며 즉답을 피했다.
최근 10년물 국채 금리가 오르는 주된 이유는 기간프리미엄(term premium)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기간 프리미엄은 장기 투자 리스크에 대한 보상으로 얻는 추가 수익률을 말한다. 투자자들이 지정학적 불안과 유가 전망, 좀처럼 꺾이지 않는 경제 지표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 장기물 국채에 대해 더많은 보상(=수익률)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파월 의장은 “투자자들은 경제 전반의 체력에 대해 재평가를 하고 장기 투자를 하려면 수익률이 좀 더 높아야 겠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여기에는 재정적자나 양적 긴축에 대한 고려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재정 적자는 국채 발행을 늘려 수익률을 높이는(=국채 가격 하락) 요인이다. 양적 긴축도 미국 국채의 주요 구매자인 연준이 매수를 하지 않아 수요 감소로 인해 국채 수익률이 오르는 요인이다. 파월 의장은 “연준이 긴축을 좀 더 할 것이란 전망 때문에 오르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월가에서는 이날 파월 의장을 발언을 두고 11월 동결에 대한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매크로폴리시프로스펙티브스의 파트너 로라 로즈너는 “11월 회의에서는 금리를 올리지 않느다는 확실한 신호를 준 것”이라며 “파월 의장은 4분기에 경제가 둔화한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최근 상승한 국채 금라 경제를 식히는 역할을 다소 수행할 것이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 카드를 버린 것이 아니라는 점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추세 이상의 성장이나, 노동시장의 인력 부족 현상이 더 이상 해소되지 않는다는 신호는 인플레이션이 추가로 진행될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고 통화 정책의 추가 긴축을 부르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기존에 올린 금리 인상으로 아직 의미있는 긴축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면서도 “지금 여러 증거를 보면 현재 통화 정책이 그렇게 많이 긴축적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의 지연 효과가 진행 중이지만 필요에 따라 추가 긴축도 가능하다는 의미다.
파월 의장은 최근 경제 지표와 관련해 “어떤 식의 해석으로든 인플레이션은 여전이 너무 높다”며 “몇 개월간 좋은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2%로 되돌아간다는 확신을 갖기 위한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