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업무를 전담했던 ‘미래전략기획관실’이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치 실패 이후 미래전략기획관실 산하 행정관들은 모두 원대 복귀하거나 대기 발령 조치를 받고 있다.
7일 대통령실 관계자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 청사의 미래전략기획관실 사무실은 현재 구성원들 없이 공실 상태다. 엑스포 유치 실패 이후 대통령실 조직 개편까지 이어지면서 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해 차출됐던 부산시·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직원들이 모두 복귀한 것이다.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상 조직도에서도 미래전략기획관실 산하에 있던 ‘미래정책비서관’이 사라졌다.
장성민 미래전략기획관은 현재 ‘대기 발령’ 상태다. 여권 등에서는 장 기획관이 유치 실패에 따른 책임을 지고 문책성 경질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장 기획관 등은 지난달 프랑스 파리에서 실시된 국제박람회기구(BIE)의 2030년 엑스포 개최 도시 선정 투표를 앞두고 ‘1차 투표에서 사우디아리비아와 나란히 1~2위를 기록한 뒤 2차 투표에서 역전승’ 이라는 전략으로 대비해왔다. 그 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사우디를 거의 따라잡았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투표 결과 우리나라는 1차에서 리야드엑스포 개최를 추진해온 사우디에 분패했다. 이에 따라 장 기획관 등이 판세 등을 잘못 분석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정치적·외교적 부담을 지웠다는 비판이 여권에서 거세게 일었다.
당초 미래기획관실은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정책조정기획관실’로 시작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8월 대통령실에 신설된 정책수석실에 정책 추진·조정 기능 등을 이관하고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면서 부산엑스포 유치 업무만 전담하게 됐다. 여권 관계자들은 미래전략기획관실이 해체 수순을 밝는 것에 “당연한 결과”라며 “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상황 아니냐”고 지적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연말 연초께 과학수석실을 설치하고 산하에 양자·AI·바이오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별로 3~4개 비서관실을 두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예산 축소에 따른 과학기술계의 불만을 달래고 첨단 기술을 중심으로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미래전략기획관실이 폐지 수순을 밟으면서 과학수석실이 신설되는 것이므로 대통령실 비대화 논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주재현 기자 jooj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