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기기증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20~3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본인의 기증 의사를 인증하기 위해 장기기증 타투를 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올해 1월부터 지난 12일까지 장기 등 기증 희망 등록자 수가 14만800명으로 전년 동기(12만8000명) 대비 16%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2년 반 동안 '장기기증 서약'을 가장 많이 작성한 연령층은 일명 MZ세대라 불리는 20~30대로 확인됐다.
지난 9월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가 낸 자료를 보면, 2021년 1월부터 지난 6월까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에 장기기증 희망 등록을 한 사람은 총 19만8369명으로, 20대가 28%(5만5943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5%(2만9615명) 그 뒤를 이었다.
장기기증에는 뇌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정지해 회복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상태에 빠진 뇌사자 장기기증과, 살아있는 사람이 장기를 기증하는 생체 장기기증이 있다.
뇌사상태에서 장기를 기증하는 경우 심장·신장·간·이자(췌장)·폐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
사후에 기증이 가능한 것에는 시신·조직·각막 등이 있고, 생존 시에도 골수·신장·간·혈액 등을 기증할 수 있다.
온라인상에는 '장기기증 서약'을 작성한 이들의 후기가 이어지고 있는데 2021년 7월에 걸그룹 (여자) 아이들의 소연이 장기기증 희망 타투를 새기며 젊은 팬층의 관심을 이끌었다.
또 2018년 7월에는 세종소방서에 근무 중인 한 소방관이 왼쪽 가슴 위에 장기기증 희망 타투를 새긴 모습을 공개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소방관의 왼쪽 가슴 위에는 심전도 곡선 위아래로 각각 '대한민국 소방관(Korea Fire Fighter)'이라는 문구와 함께, '나는 장기/조직 기증을 희망합니다'라는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관계자는 "젊은 연예인들이 장기기증 의사를 밝히거나 타투를 한 게시물을 인증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20대처럼 비교적 어린 사람도 장기 기증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