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번 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어 새해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국을 겨냥한 '강 대 강' 원칙과 함께 제시할 메시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북한의 전원회의는 김정은 체제에서 대내외 주요 문제를 논의·의결하는 핵심 정책 결정 기구로 평가된다.
25일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의 연말 전원회의는 통상 12월 마지막 주에 4~6일간 개최돼 올해도 이번 주 중 개최될 전망이다. 북한은 2019년 이후 연말에 김정은이 참석한 가운데 전원회의를 열어 한 해를 결산하고 새해 정책 방향을 내놓고 있다. 전례에 따르면 회의는 오는 27일 전후에 시작돼 의정 보고, 분과별 토의, 결론의 순서로 진행된 뒤 31일 종료될 전망이다.
전원회의에서 김정은이 내놓을 결론 발언은 통상 1월 1일 관영매체를 통해 보도된다. 신년사 역할까지 할 그의 발언을 통해 대남·대미 등 대외 정책과 경제, 국방 정책의 새해 밑그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은 한국·미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중국·러시아와 교류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로 닫았던 국경의 전면 개방을 공식화할 가능성도 있다.
군사정찰위성 추가 발사 등 국방력 증강 계획의 공개 여부도 주목 받는다. 김정은은 지난달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 뒤 '2024년도 정찰위성 발사계획'을 연말 전원회의에서 결정하겠다고 예고했다.
전원회의에서는 올해 건설, 경공업, 농업, 과학기술·보건 등 경제 분야 성과를 평가하고 내년 목표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 외부 정보 유입 차단 등 주민 사상을 통제하고 사회 기강을 다 잡기 위한 대책도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내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북한이 대외적으로 핵 보유국 인정 등 유리한 협상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도발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킨 이후 자신들에게 유리한 협상 국면을 조성하려는 '2017년의 데자뷔' 같은 행태를 보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