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 대책과 관련해 적절한 주주 환원 방안을 놓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주가순자산배율(PBR) 등 투자지표 비교 공시 외에도 주주 환원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상법 개정 방향까지 담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26일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20곳의 상장사는 연초 이후 3조 원 이상의 자사주 소각 방침을 발표했다. 주가 부양 분위기에 편승한 일부 행동주의 펀드들은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 등 강력한 주주 환원책을 요구하며 공격에 나서 논란이 되고 있다. 단기 주가 부양에 급급하다가 자칫 장기 성장에 투자할 재원을 소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도쿄증권거래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보고서는 “주주 환원 강화는 일회성의 자사주 매입 및 배당 확대만으로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신 “대차대조표가 가치 창출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황에 맞게 주주 환원이 시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장기 투자자가 진짜 원하는 것은 기업들이 이익을 꾸준히 낼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설비투자, 사업 포트폴리오 개선 등에 재원을 투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의 밸류업 정책도 단기적인 주주 환원이나 PBR 등의 숫자 맞추기에 연연하기보다는 중장기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인색했던 주주 환원이 선진 시장 수준으로 정상화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함께 우리 기업들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만들려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가 중요하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주가를 보면 미래의 기업 가치 제고가 진정한 주주 환원 방안임을 알 수 있다. 성장의 과실을 모든 주주들이 함께 누릴 수 있다는 신뢰가 흔들린 데는 기업들의 책임이 크다. 일부 기업들이 신사업 부문을 물적 분할한 후 별도 상장하거나 경영권 방어용 자사주 매입·교환 등에 회사 자원을 쓰는 일이 잦았던 게 사실이다. 기업들도 지배 구조 개선으로 화답하는 한편 미래 성장까지 염두에 두고 균형감 있는 장·단기 주주 환원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