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 소속병원들이 의료계 집단행동을 앞두고 비상진료체제에 돌입한다. 이들 병원은 본래 근로자의 산업재해 치료를 위해 설립됐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처럼 공공병원 역할을 위해 지역 의료 현장을 지켰다.
1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복지공단 소속 10개 병원 중 종합병원 및 병원급인 9개 병원(1곳은 요양병원)은 지난주 비상진료계획을 수립했다. 의료계가 20일 예정대로 집단행동에 나서면 이 체계는 즉시 가동된다. 주요 대응은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을 24시간 가동한다. 또 평일에는 연장 진료를 하고 토요일 근무도 한다.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환자 전원과 치료도 맡는다.
산재 병원은 산재 환자 돌봄이 설립 목적이지만, 일반 환자 치료도 담당한다. 병원이 부족한 지역별 거점에서 중심 병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산재 병원도 민간 병원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자체 수익 의존도가 커 재정이 넉넉하지 않고 의사와 같은 의료 인력도 너무 부족하다. 코로나19 사태 때 공공병원으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하면서 일어난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대표적인 예다. 이들 병원은 코로나19 사태 때 감염병 전담병원과 선별진료소 역할을 하다 보니 본래 환자 돌봄을 통한 수익성 확보가 어려웠다. 이후 일부 병원은 재정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이날 산재 병원 중 인천 병원을 직접 찾아 비상진료대책을 점검하고 “환자 전원, 환자 이송 등 의료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힘써 달라”고 코로나 때처럼 공공병원으로서 역할을 재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