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은 가구당 평균 9억5000여만원의 자산과 평균 9,200만원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이 있는 1인 가구 5명 중 1명은 소득대비 부채상환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382만 서울시민 가구(740만명)의 주거·소비·금융 패턴 등의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2022년 3분기 기준)를 22일 공개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서울시 가구당 평균 총자산 평가금액은 9억5,361만 원, 평균 대출금액은 9210만원이었으며, 연평균소득은 가구당 7369만 원이었다. 총자산 중간값은 5억5506만원으로 평균값과 차이가 컸으며 대출금액 중간값은 9000만원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평균 소득 중간값은 5700만원이었다. 총자산이나 소득의 경우 평균값보다는 중간값이 일반적인 시민의 생활상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대출이 있는 1인 가구 약 62만 중 23.2%, 다인가구 약 140만 중 13.3%가 연소득대비 부채잔액비율(DTI) 300%이상으로 부채상환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다인 가구보다 1인가구가 더 많은 부채위험에 처해있는 것이다.
가구주의 연령대별로는 1인·다인 가구 모두 청년(40세미만)이의 부채상환비율이 각각 27%, 21.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노년(65세이상), 중장년(40세이상~65세 미만) 순이었다.
청년 1인 가구는 소비의 절반 이상인 53.7%를 ‘전자상거래’와 ‘요식’에 할애하는 반면, 노년 1인 가구는 소비의 47.0%를 ‘소형유통점’과 ‘의료’에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최초로 개발한 이번 ‘재현데이터’는 가명결합데이터 샘플을 전체로 확대·재현한 것으로 원본의 통계적 특성은 유지하면서 개인정보 유출위험이 없어 정책 설계·분석·모델 개발 등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번에 개발한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는 빅데이터캠퍼스에 이용 신청하면 시민 누구나 본원과 8개 분원을 직접 방문해 활용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