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괴산두레학교 할머니들, '내생내산' 시화전 연다

괴산두레학교 할머니들, 시화전

3월 6일부터 인사동 아르떼 숲





추영자 할머니는 괴산에 처음 시집 오던 날, “앞에도 산, 뒤에도 산, 산만 보여 도망도 못 가네”라고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진달래반 정희 할머니는 “엄마 산소에 있는 열매를 먹으면 젖맛이 났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한때 이팔청춘이었던 할머니들은 이제 괴산두레학교에서 벗들과 함께 글을 배우고,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며 “내 인생 내가 산다(윤명희)”는 인생의 기쁨을 노래한다.

괴산의 할머니들이 글로 배운적 없는 삶을 처음으로 쓰고 그린 ‘얘들아 걱정 마라, 내 인생 내가 산다’라는 제목의 시화전을 냈다. ‘얘들아 걱정마라, 내 인생 내가 산다’는 뒤늦게 글을 배운 어르신들이 2014년부터 10년 동안 쓰고 그린 시화를 골라 엮은 책이다. 60대 후반에서 90세가 넘은 일흔아홉 분의 할머니들, 네 분의 할아버지들이 쓰고 그린 121편의 시화가 담겨 있다. 이들 중 드물게 다른 시기에 잠시 글을 배운 적이 있는 분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괴산두레학교에서 처음 글을 배운 분들이다.

학교를 다니지 못한 것도 내 탓, 글 모르는 것도 내 탓이라 평생을 눈치 보고 기죽고 살아왔다는 분, 남부끄러우니 글 배우러 다니는 걸 말하지 말라던 분도 있었지만. 할머니들에게는 글을 배우는 데도 큰 용기가 필요했다. 그리고 조금씩 글자를 익히고 글을 쓰게 되었다. 다음은 19세에 시집와서 평생 농사일을 해온 78세의 안대순 할머니가 쓴 글이다.


ㄱ ㄴ ㄷ

ㅏ ㅑ ㅓ ㅕ

처음 보는 글자

가 갸 거 겨

가지

고구마

글자 겨우 아니

하하 호호

로 료 브 비

글자가 비료지


어렵고 힘든 시대를 견디며 평생을 살아온 할머니들이 가슴속에 담아둔 노래, 털어놓아 본 적 없는 이야기를 꺼내는 데는 또 얼마나 큰 용기와 결심이 필요했을까. 곪기도 하고 삭기도 했을 이야기가 잘 발효되기까지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필요한 것일까. 이 책에는 ‘글로는 배운 적 없는 인생이 글로 표현되었을 때’의 가슴 뭉클함이 있다. 꾹꾹 눌러쓴 글자, 그림을 따라 그리듯 조심스럽게 쓴 글자, 비뚤비뚤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 등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글씨체들, 그리고 그 모퉁이에 무심한 듯 그려 넣은 그림 한 쪽마다에는 우리 인생의 희로애락이 있는 그대로 담겨 있다.


27살에 보루수다방에서/ 처음 만났지/ 그이가 처음에 별루였어/ 그이는 내가 첫눈에 좋았다네/ 나는 결혼 안 한다/ 그이는 자꾸 만나자 하대 … 시집와 살아보니/ 신랑 착해서 이리 사나 싶어/ 눈물 나게 고맙고 그래 -함순교, <보루수다방>

28년 전에 가신 영감 보고 싶으다 … 나 예순하나, 영감 예순넷/ 그냥 혼자 떠나갔지/ 하늘나라 살 만혀?/ 나는 아직 멀었어 … 좋은 자리 맡아놔/ 영감 곁으로 갈게

-이배옥 <영감>

칠월 열사흗날이 내 생일입니다/ 그날이 아부지 제삿날입니다/ 아침에는 멱국 먹고/ 저녁에는 제삿밥 먹고/ 시집와서는 생일이 업써습니다/ 시집와서는 정신이 업서씁니다/ 환갑대서야 생일상 바더씁니다

-이문성, <칠월은 내 생일입니다>


이 책에는 할머니들 시대에 겪었을 어린 시절의 지독한 가난, 끝이 없는 농사일의 고단함, 먼저 자식을 떠나보낸 한恨 같은 아픔과 슬픔도 많지만 그것을 이겨내고 웃게 만드는 질긴 삶의 의지 또한 함께 어우러져 있다. 억지로 결혼했는데 좋은 남편을 만나기도 하고, 그렇게 속을 썩이던 자식이 효자가 되고, 끝이 보이지 않던 고생이 끝나고 나니 그 또한 좋은 추억으로 남기도 한다. 그것은 새로운 용기가 된다. 또한 할머니들의 꾸밈없는 글과 그림에는 향기가 배어 있다. 살 냄새, 흙냄새, 땀 냄새, 풀 냄새, 바람 냄새 같은 향기다. 할머니들은 시가 무언지 몰라도 시인이 되었다. ‘글자’를 배우고 쓴 ‘글’들이 ‘시’가 되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할머니들은 직접 자신의 자화상을 그려 책에 수록했다. 시화전은 오는 3월6일 서울 인사동 아르떼 숲에서 열린다. '얘들아 걱정 마라, 내 인생 내가 산다' 책에 실린 할머니들의 그림, 원화를 전시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