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에 이어 의대 교수들도 사직서를 꺼내들고 정부가 먼저 ‘2000명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을 양보하라고 요구했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총회 끝에 16개 대학 교수들이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고 다른 4개 의대도 다음 주 설문 조사를 진행한 뒤 동참하기로 했다고 엄포를 놓았다. 방재승 비대위원장은 16일 “정부가 제일 먼저 ‘2000명 증원’을 풀어줘야 합의가 될 것”이라고 압박을 가했다. 정부와 전공의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임했던 의대 교수들마저 ‘제자 보호’를 내세워 집단행동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의사들은 2000년 의약분업 추진, 2020년 의대 증원 추진 등 의정 갈등 때마다 의사 단체의 선전포고-전공의 사직·의대생 동맹휴학-교수들의 동참 등 집단행동 행태를 반복해왔다. 그때마다 정부는 환자 피해 확산을 우려해 “원점에서 논의하자”며 의료 개혁을 백지화했다. 그래서 의료계 일부에서 ‘의사 이기는 정부 없다’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이번에 교수들의 집단 사직 겁박도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볼모로 ‘의사 불패’를 이어가자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이런 가운데 대한뇌혈관외과학회와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는 “저희는 합리적 해결이 될 때까지 병원을 지키고 있겠다”고 밝혔다. 의사들이 정부의 의료 정책에 이견을 제기할 수는 있지만 두 학회의 지적처럼 환자 곁을 지키는 것은 의사의 근본 책무다.
전공의 사직이 한 달째로 접어들면서 현장 의료 인력들의 피로도가 한계에 이르고 수술 건수도 대폭 줄었다. 아직은 ‘의료 불편’ 단계이지만 ‘최후의 보루’이던 교수들마저 집단 사직하면 의료 대란이 현실화할 수 있다. 이제라도 의대 교수들은 전공의들에게 병원으로 복귀한 뒤 정부와 대화를 통해 필수·지역 의료 정상화 문제를 풀자고 설득해야 한다. 정부도 의대별 증원 배분을 완료해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한편 필수 의료 수가 인상, 전공의 처우 개선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면서 의사들의 퇴로를 열어줘야 한다. 이참에 전문의 중심으로 상급병원 인력 구조 전환, 상·하급 병원 간 역할 분담 등 의료 시스템 개혁에도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