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로 버텨야죠. 70세 넘어서도 일해야 하는데 지금도 경비 외에는 뽑아주는 곳이 없습니다.” (천안고용플러스복지센터에서 만난 김 모(62) 씨)
고령층이 가파른 고용절벽 앞에 섰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에 이 같은 변화가 예견됐지만 고령자들은 제대로 대응할 만한 시간조차 갖지 못한 채 고용시장에 내던져지고 있다. 문제는 소득이 낮고 기술이 없는 고령층일수록 생계를 위한 일자리가 절박한데도 이들이 오히려 고용시장에서 더 버티기 힘들다는 점이다.
21일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참가율은 내년에 사상 처음으로 40%를 돌파할 것이 유력하다. 2019년 34%였던 이 비율은 2020년 35.3%를 기록한 이후 매년 1%포인트씩 올라 지난해에는 38.3%까지 높아졌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 약 946만 명 가운데 362만 명이 경제활동인구였다는 얘기다. 매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어 이 같은 추세라면 내년에는 40.2%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령층의 고용시장 진입을 대비하기가 벅찰 만큼 참가율 증가 속도는 빠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발표한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 증가 현황과 원인 및 시점’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2% 늘었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취업자 수 증가율은 8배가량인 9%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상당수는 불안정한 일자리로 내몰린 지 오래다. 상대적으로 학력이 높은 고령층까지 경력이 단절되고 ‘괜찮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용정보원의 분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근로자 중 저학력층의 신규 취업 비중은 77.7%에 달한다. 고학력층도 55.7%로 낮지 않다.
이들 전체의 일 형태를 보면 단순 노무직 비율이 54.8%로 절반에 달한다. 불안정한 일자리는 임금이 상대적으로 낮고 실업 상태가 되기 쉽다. 실제로 실업급여(구직급여)를 받는 60세 이상은 지난해 44만 5000명으로 2019년의 30만 명에 비해 4년 새 무려 48%나 늘었다. 박진희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65세 이상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75만 원, 공적연금액은 평균 55만 원으로 조사됐다”며 “노후 소득이 부족하자 생활비를 보태기 위해 일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