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년 전 제주 4·3당시 부모와 형제·자매를 모두를 잃어야 했던 5살 소녀가 80살이 넘어 인공지능(AI) 기술로 아버지의 생전 모습을 만났다.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봉행된 '제76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식'에서는 처음으로 AI를 이용한 희생자의 생전 모습 복원이 이뤄졌다.
이날 오전 10시 제주 전역에 1분간 울린 묵념 사이렌을 시작으로 추념식이 봉행됐고 유족 김옥자 할머니의 손녀 한은빈 양이 무대에 올라 사연을 소개했다.
4·3 당시 소개령이 내려지자 김 할머니의 가족들은 제주 화북리 곤을동 마을로 거처를 옮겼다. 며칠 뒤 김 할머니의 아버지 故 김병주 씨는 "아버지 집에 가서 소여물 먹이고 금방 돌아올게"라는 말을 남기고 나선 뒤 토벌대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어머니도 이듬해 봄에 곤을동 인근 화북천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언니와 동생마저 굶주림과 전염병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후 막내 고모의 손에서 자라다 15살 때 육지로 올라간 김 할머니는 각종 노고 끝에 다시 제주로 내려와 가정을 꾸렸다고 한다.
너무 어린 나이에 헤어졌던 아버지였기에 김 할머니는 부친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했다. 이에 친족들과 주변인들의 증언을 토대로 수천 장의 인물사진을 대조하며 AI 기술을 통해 김병주 씨의 젊었을 적 모습이 복원됐다.
딥페이크 기술로 합성된 김 할머니의 아버지는 영상 속에서 "옥자야 아버지여. 하영(많이) 기다렸지. 이리 오라 우리 똘(딸) 얼마나 컸는지 아버지가 한번 안아보게"라며 두 팔을 벌려 다가왔다. 이에 김 할머니는 눈물을 흘렸다.
한은빈 양은 "할머니의 시간은 여전히 5살에 머무르지만 그리움에 사무친 아버지 얼굴은 그 시간 속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다. 정부는 4·3사건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해 화합과 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