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오셨지요?” “남부 독일의 뮌헨이요!” “어떻게 여기까지 오셨나요?” “웹사이트 검색을 통해서요!”
지난주 이른 아침 전남 구례 화엄사 연기암에서 만난 2명의 젊은 독일인 여행객들과 나눈 대화다. 다음 날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온 BTS의 젊은 왕팬을 만났다. K드라마를 봤고 혼자서 노고단부터 제주도까지 10일 여정으로 간다고 한다. 지하철 속에서는 자주 보는 광경이지만 지리산까지나? 4·10 총선 벽보에도 관광 명소로 바꾸겠다는 공약이 빠지지 않는다. 정부가 수출산업 강화 정책에만 너무 매달려온 것은 아닌지. 세계적 대전환의 불확실성 속에서 대외 경제의 방패막이는 준비해오고 있었는지. 이 맥락에서 부가가치와 취업 창출 효과가 큰 관광산업을 지금보다 훨씬 강화해야 한다.
중국은 일찍이 관광을 내수 진작 수단으로 써왔다. 1995년 휴일 경제를 도입해 봄가을에 경비 지원형 유급휴가를 강화했다. 지금도 2023~2025년 3개년 국내 여행 활성화 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 때 반으로 감소한 국내 여행객을 60억 명 선으로 회복시키고자 한다. 일본은 여행 활성화 계획의 70~80%가 내국인 대상이다. 2000년대 초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부가 관광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도쿄는 물론이고 전국 방방곡곡이 관광 친화적으로 말끔하게 단장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한몫하게 됐다. 꽃은 아베 신조 정부 때 피었다. 외국인 관광객이 2015년 2000만 명을 넘었다. 지금은 3000만 명 시대다. 코로나가 종식되자 외국인 관광객이 몰려가고 있다.
우리도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범부처적인 선제적 종합 대책이 나왔어야 했다. 아쉽다. 지금부터라도 미래지향형 K관광산업을 구축해나가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솔직히 보편적 관광 자산인 문화유산 측면에서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비교 우위가 없다. 문화유산의 생뚱맞은 복원에만 돈과 정력을 쏟을 일이 아니다. 가난에 찌들었던 나라에서 선진국의 초입에 오게 된 점, 오징어게임·BTS 등 세계적 한류, 코로나 이후 원격근무의 유행, 한려수도 등 미개발된 수려한 자연경관 등이 중요 자원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100년 대계를 내놓아야 한다.
단순히 보여주기식 이벤트성 테마파크를 건설하는 것이 아니다. 생활환경을 보다 세련되게 바꾸는 작업이다. 급속한 산업화·도시화로 전 국토가 아파트로 봇물을 이루고 수많은 산업단지 지역으로 덮여 있다. 지방 미관도 낙후돼 있다. 논밭에 흉물스러운 고층 아파트라니. 1인당 소득 3만 달러를 넘어선 만큼 내가 살고 싶은 지역으로 좀 더 잘 가꾸고 싶어진다. 접근성 면에서도 고속철도망을 촘촘하게 깔고 3~4개의 거점공항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거점공항에 고속철도망이 연결돼야 한다. 선거철마다 공약의 감초 격인 지방 공항 신축을 중지해야 한다. 교통 요금도 국내외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정보기술(IT) 강국이니까. 유휴 산업단지, 폐교 등 공공 설비의 관광산업 활용 역시 필요하다. 산업구조 변화, 인구 감소로 기왕에 하게 될 공간 재배치와 연계돼야 한다. 자연히 미관 영향 평가의 제도화 또한 시급하다. 일본의 국토부가 관광 진흥에 핵심 역할을 하는 이유를 알 만하다.
지방 활용도를 훨씬 높여야 한다. 국내 관광 업계 매출의 90% 이상이 해외여행 알선이다. 국내도 가볼 만한 곳이 많아졌다. 개인과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의 결실이다. 200여 개의 출렁다리, 30여 개소의 케이블카 등 쏠림 현상이 심하다. 적자투성이다. 세련된 특성화 개발, 가령 한 달 살기 프로그램, 워케이션 활성화 등 지방에서 국내 관광을 진작시킬 여지는 충분히 있다. 그만큼 얘깃거리가 중요해졌다. 종사 인력의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 청년 세대의 70% 이상이 대학 졸업이고 상당수가 해외 연수 경험자다. 이들을 안내 책자의 고급화, 외국 관광객 안내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동시에 세계를 휘젓고 다녔던 은퇴 베이비부머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내수 관광을 활성화하고 부가가치가 덜한 염가 외국인 단체관광, 면세점 관광 등을 극복해야 한다. 국토 면모 일신, 국내 관광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알짜 외국인 관광객 유치가 핵심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