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탈로 시작된 의정 '강대강' 대치가 넉 달째로 접어든 가운데 정부가 소아 응급환자를 위한 대책은 손을 놓았다는 병원계의 비판이 나왔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23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주 규정이 없다"며 "정부 스스로가 소아 응급환자를 포기했거나 버린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간다”고 밝혔다. 현재 응급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는 것이다.
협회는 “응급 환자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은 상주 의사의 요건을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다"며 "소아 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빠진 것은 그동안 정부가 언론을 통해 줄기차게 강조했던 소아 응급의료 대책을 무색하게 만드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소청과’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돼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도 지적했다.
협회에 따르면 아동병원은 대학병원과 달리 응급실이 없는 데도 구급대원에 의해 내원하는 소아 응급환자를 어쩔 수 없이 받아야 한다. 이 같은 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련 기관과의 대응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전국 40여 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는 것으로 안다"며 "소아 응급 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현실은 소아 응급 의료체계의 허약함을 드러낸다"고 질타했다. 이어 "광역상황실 상주 의사의 범위에 소아청소년과를 포함시키는 등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며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