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7일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했다 실패한 가운데 북한이 위성 발사를 서두르는 것은 미국에서 트럼프 정부가 다시 들어설 경우 있을 수 있는 협상에 대비하는 차원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2019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미국의 당시 대통령이었던 도널드 트럼프는 하노이에서 역사적인 만남을 가졌으나 비핵화 등에 대한 협상이 결렬된 바 있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비욘드 패럴렐'(분단을 넘어)은 28일(현지시간) 홈페이지 글에서 "북한은 지난 12개월 동안 4차례에 걸쳐 수많은 탄도미사일 시험에 이어 4차례나 위성발사체(SLV)를 발사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CSIS는 "김정은이 SLV 발사를 위한 시간표를 압축한 것은 올 연말까지 위성 3기를 운용하겠다는 공개 약속의 결과일 수도 있으며 동시에 트럼프와의 미래 협상과 연결할 수도 있다"며 "이 협상은 북한이 가진 현재의 (핵) 무기고를 사실상 허용하고 제재를 완화하는 대가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모라토리엄(중단)이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한 뒤 미국 측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중단을 포함하는 협상이 있을 경우 정찰위성 발사가 불가능해지는 만큼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전에 속도전을 하고 있다는 분석으로 풀이된다.
CSIS는 또 북한의 이번 위성 발사에 대해 "김정은이 정찰 위성에 부여한 정치적 중요성과 열망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SLV와 위성 개발 프로그램에 물리적이고 재정적인 자원이 투입되고 있다는 것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CSIS는 북한이 이번에 실패한 위성 발사에 신형 로켓을 사용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SLV 개발에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정치적 표현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실제로는 엔진을 일부 수정하는 것을 포함, 기존 천리마-1호 SLV를 발전시킨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이 지난 1년간 4차례 위성 발사 중 3번 실패한 것에 대해 "이런 실패는 발사 능력을 정교하게 하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일"이라면서 "북한이 교훈을 배우고 이를 적용해 천리마-1호의 디자인을 개선하면 내년 이때쯤에는 신뢰할 수 있는 SLV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밖에 CSIS는 북한이 전날 위성 발사 실패 원인으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발동기의 동작 믿음성(신뢰성)' 문제를 지적한 것에 대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의 액체 추진 SLV 발사는 액체산소와 일정한 형태의 정제 등유(일반적으로는 RP-1)를 사용했다"면서 "북한의 표현은 엔진 자체가 새로운 것이거나 이전 버전에서 상당하게 수정됐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