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가스전 발견 유망성에 대한 발표 이후 지난 한 달 동안 국내 대륙붕 개발이 온 국민의 뜨거운 관심사가 됐다. 물리탐사로 다수의 유망 구조를 확인했고 석유·가스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탐사 시추를 하겠다는 것이다. 예상되는 탐사 자원량이 최대 140억 배럴에 해당하는 천연가스와 원유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요지다. 정말 석유가 있기는 한지, 그 정도로 거대한 가스전 발견이 가능한지에 대한 많은 국민의 기대감과 의구심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에너지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93% 이상 되는 한국에는 안정적인 에너지자원 공급망이 국가 생존에 절대적일 수밖에 없다. 국제 에너지원 가격 상승은 에너지 요금 상승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더 나아가 에너지 공기업의 재무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국내 대륙붕 탐사와 개발은 큰 의미가 있다. 국내 대륙붕의 석유·가스 개발은 산유국이라는 자원 안보 측면뿐 아니라 인근 국가와의 해양 영토 분쟁에 대비한 기초 자료 축적, 미래 탄소 중립을 위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 확보 등 다양한 장점이 존재한다. 즉 잘 진행되면 1석 3조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2004년 생산을 시작해 2021년 생산을 종료한 동해-1광구 개발의 경우에서 봤듯 원유 환산 5000만 배럴 규모의 소규모 가스전이지만 국내 대륙붕 사업이었기에 개발이 가능했고 투자 대비 2배에 가까운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생산을 마친 폐가스전의 활용도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풍력이나 이산화탄소 저장소로의 활용이다. 이미 국내에서도 수명이 다한 동해 가스전에 대한 활용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가스 생산 시 구축한 해양플랜트 설비를 향후 풍력발전 시설로 활용하거나 가스전을 탄소 중립을 위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우리가 원하는 지구의 탄소 중립이 예상보다 늦어져 전 세계적 에너지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천연가스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많은 산유국은 이런 점을 감안해 조용히 가스전에 대한 선제적 투자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석유·가스 개발 사업은 투자를 시작해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리드 타임’이 보통 10년이 넘는다. 즉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미 늦었다는 것이며 미리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이처럼 국가와 사회를 지탱해주는 에너지와 기후변화 문제는 장기적 계획에 따라 선제 추진해야 한다. 한국석유공사는 ‘광개토 프로젝트’라는 국내 대륙붕 개발 중장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자원안보 측면에서는 대륙붕 탐사를 통해 동해·서해·남해에서 추가적인 가스전을 확보하고 동시에 탄소 중립을 위한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 시설을 확보한다는 원대한 목표이다. 탐사 활동을 통해 확보된 지질 정보는 국가 차원의 해양 주권과 해양 영토 관점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런 관점으로 볼 때 국내 대륙붕 탐사 사업은 국가가 나서 추진해야 하는 일이다. 그것도 더 일찍 서둘러 추진했어야 했다. 그러나 문제는 소요되는 예산의 확보이다. 심해 시추 한 공에 1000억 원이 넘는데 자본 잠식에 빠진 석유공사가 자체 자금만으로 조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정부의 예산 지원 없이는 광개토 프로젝트는 멋진 이름의 청사진에 그칠 뿐이다. 자원안보와 탄소 중립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최적의 사냥터인 국내 대륙붕을 애써 외면하지 않기를 바란다.
국가와 회사 차원의 비전과 멋진 계획은 있지만 그를 추진하는 인력과 자금 투자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이제부터라도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와 공기업의 시간으로 에너지자원 사업이 추진되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