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미복귀로 정부와 의료계 간 진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문의 중에서도 사직서를 낸 사람이 15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40개 의과대학 소속 병원 88곳에서 사직서를 낸 전문의는 145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과대학 소속 병원 전문의 1만 7316명의 8.4%에 해당한다.
사직서를 제출한 전문의 가운데 255명(17.6%)은 사직서가 수리됐다.
최초 조사 시점인 지난 5월 2일 대비 사직서 제출 전문의는 15.8% 증가했고, 사직서가 수리된 인원도 2.3배가 됐다.
한 의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 사직 비율과 사직 사유를 복지부가 전혀 파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전문의를 비롯한 의대 교수의 계약 형태와 사직 사유는 각기 다르며, 사직 현황을 일률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고 한 의원은 전했다.
한 의원은 "의정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피로가 누적된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 사직이 더 많아질 수 있는 만큼 복지부는 조속히 현황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빅5' 등 주요 수련병원에 따르면 현재까지 복귀 또는 사직 의사를 밝혀달라는 요청에 응답한 전공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별다른 복귀 움직임 역시 감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집계한 지난 12일 현황에서도 전국 수련병원 211곳의 전공의 1만3756명 가운데 8.1%인 1111명만이 출근 중이다. 출근하지 않은 전공의 대부분이 사직 처리된다면 1만명 이상의 대량 사직이 발생하는 셈이다.
이렇게 사직한 전공의들은 이달 22일부터 시작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응시할 가능성도 크지 않아 보인다. 정부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응시하는 사직 전공의에겐 '수련 도중 사직 시 일 년 내 동일 연차·과목 복귀 불가' 규정에서 제외하는 특례를 적용하며 복귀를 독려하고 있다.
수련병원이 복귀 또는 사직에 관한 의사를 뚜렷하게 밝히지 않은 전공의들을 '일괄 사직 처리하겠다'라는 것을 두고도 과도한 조치라는 내부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등은 "개별 전공의의 복귀·사직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사직 처리를 하는 것은 현 사태를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일부 병원은 정부 방침과 달리 전공의들의 사직 처리를 보류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국립대병원이나 지방대병원의 경우 사직 처리된 전공의들이 자칫 수도권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수련병원들은 정부 요청에 따라 사직 인원이 반영된 정확한 결원 수를 파악해 17일까지 복지부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하반기 최종 전공의 모집인원 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