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와 국립현대미술관(MMCA)이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정책 디자인을 실험했다. 시민 참여 과정을 통해 탄소중립을 위한 아이디어와 정책 방향을 도출했다.
16일 유니스트에 따르면 디자인학과 이승호 교수팀은 국립현대미술관을 이용하는 시민 참여형 정책 워크숍에서 탄소중립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164명의 시민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워크숍에서는 미술관의 탄소중립을 위한 규제 검토 등 즉시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에너지 자원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술관을 작은 규모로 분산시키는 장기적인 방안도 논의했다.
연구팀은 어린이 워크숍을 시작으로 청년, 중장년, 미술관 의사결정권자들과의 워크숍을 연이어 진행했다. 각 연령대의 의견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아이디어를 탄소중립 정책으로 발전시켰다. 어린이들의 상상력과 의견을 반영한 디자인적 접근이 워크숍의 핵심이었다. 기후 위기로 큰 영향을 받는 어린이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시도였다. 미술관이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됐다.
참가자들은 시각 자료를 활용해 기후 위기를 겪는 개인과 미술관의 모습을 상상하고 토론했다. 북유럽의 참여형 디자인 방법론을 국내 공공기관에 맞게 적용해 미술관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책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이효리 연구원은 “미래를 아이디어를 시험하고 현실을 생각하는 방법이라는 디자인 사고를 기준 삼았다”며 “시민참여형 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미술관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민주 연구원은 “탄소중립이라는 주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병국 연구원은 “시민이 원하는 탄소중립 미래를 확인하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의미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5월 8일 국제 디자인 학술지 국제 디자인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에 게재됐다. 연구는 UNIST 탄소중립융합원 연구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편 연구팀은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협력해 국내 공연 예술계의 기후위기 대응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