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세대들은 자신의 어투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덜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는 한글 전용 이후, 신문과 책에서 한자의 모습이 사라졌고, 사라진 후에도 세월이 많이 흘러간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간단히 말해 한글 전용의 부작용이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뜻일 것이다. 한자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해서, 같은 발음이지만 장/단 모음의 구별을 하지 않게 되었음을 뜻한다.
그러나 한글 전용으로 인해, 발음의 구별이 혼란스러워졌다고 해서, 이를 이유로 한글 전용을 되돌리자고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새로운 문제는 새로운 관점에서 고쳐나가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앞으로 한국어가 장/단 모음을 구별하지 않는 상태로 들어설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언어는 세월에 따라 변하고 이는 피할 수 없는 일이다. 300~400년 전 조선 중기의 말도 지금 우리는 이해하지 못하는 고어라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장/단 모음의 차이 중, 대표적인 예가 “화장”이다. 여성들이 얼굴을 꾸미는 “화장”과 시신을 태우는 “화장”은 두 경우 한자가 다르다. “化粧”과 “火葬”이다. 두 단어의 구별은 단어의 첫 발음인 “화”를 길게 발음하느냐 짧게 발음하느냐에 달려있다. 현실에서 이 두 단어의 혼동이 없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물론 한글의 장/단 음의 구별이 한자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자가 아닌 한 음절로 된 단어에도, 장/단 음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한 둘이 아니다. 한 음절로 된 단어를 살펴보자. “굴, 눈, 말, 밤, 발, 배, 벌, 병” 등이 있다. 외에도 찾아보면 더 있을 것이다.
“배”의 경우 “과일/ 복부/ 선박/ 두세 배”에서 보듯, 같은 단모음이라도 여러 뜻으로 쓰인다. 두 음절로 된 단어를 보자. “대전”(大田)과 “대-전”(大戰), “부자”(父子)와 “부-자”(富者), “유-명”(有名)과 “유명”(幽冥), “사과”와 “사-과”등 여러 단어를 찾을 수 있다.
“대전”(大田)과 “대-전”(大戰)은 같은 한자임에도 불구하고, 장/단 모음으로 구별해 읽는다. 장/단 모음의 선택이 한자 때문만은 아닌 예일 것이다. 좀더 섬세하게 살펴보자. “대전”(大田)의 경우, 뒤의 “전”이 앞의 “대”보다 음고가 높다. 이 두 음절의 음높이가 다르다는 뜻이다. 음높이 차이의 좋은 예가 “이사”(理事)와 “이사”(移徙)다. “이사”(理事)는 “이”와 “사”의 음높이가 같으나, “이사”(移徙)는 같은 음높이로 발음하면 뜻이 와 닿지 않는다. “사”를 약간 높여야 한다. “이사한다”의 발음은 “사”에서 음높이가 올라가고, “한다”는 문법적으로 연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올라간 발음을 지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어에 있어서, 음높이 인식의 메커니즘은 지금 발음한 음높이와 다음 발음할 음높이의 차이의 인식에서 출발한다. 앞의 것보다 “높은지, 낮은지”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지나간 음보다 높다/낮다”가 지각의 기본 틀이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시작의 음높이를 “1”로 정하고, 다음 발음이 높을 경우 “2”, 낮을 경우 “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물론 발음을 “2”나 “0”에서도 시작할 수 있다. 이 표기는, 기존의 연구에서 음높이를 표기한 경우를 발견하지 못해, 이 글에서 임의로 만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보다 편리한 표기 방법이 있다면 교체하면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세 개의 음높이를 설정하였다. 물론 필요할 경우, “2” 위에 “3”을 설정하거나 “0” 아래 “-1” 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0, 1, 2” 기호를 사용하면, “이사”(理事)는 “이1사1”, “이사”(移徙)는 “이1사2”가 된다. “1”보다 낮은 발음에서 시작하면, “이사”(理事)는 “이0사0”이고 높은 발음에서 시작하면 “이2사2”다. “이사”(移徙)는 “1” 발음에서 시작하면, “이1사2”이고, 낮은 발음에서 시작하면 “이0사1”가 된다.
설명한 방식으로 “이사”를 한번 발음해 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이사”를 두 칸 뛰어 “이0사2”로 발음하면 자연스럽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과일 “사과”와 사죄 “사과” 역시 같다. 사죄 “사과”는 “사1과1”, 과일 “사과”는 “사1과2”일 것이다.
대구 지방에서는 먹는 “사과”를 “사2과1”로 발음하기도 한다. 경상도 사투리의 첫 음을 높은 음에서 시작하는 경우의 해당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경상도 사투리가 심할 경우, “망신살스럽다”의 “망신”을 “망1신2”으로 발음하지 않고 “망2신0”으로 두칸 뛰어내려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대구에도, “X1 Y2”이 있다. “사과”의 다른 이름인 “능금”의 경우, “능1금2”으로 발음한다.
이제 단어 차원을 넘어서서 문장의 종결부의 어투를 살펴 보기로 한다. “그렇게 했습니다”를 예로 삼아 살펴보기로 한다.
1. 그1 렇1 게1 했1 습1 니1 다1.
이 어투는 음높이의 변화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음높이로 발음한다. 수평선의 어투다. 겸손한 태도를 들어낸다. 아마도 학생이 선생님에게 또는 군대에서 상관에게 보고하는 경우의 어투일 것이다.
2. 그1 렇1 게1 했2 습2 니0 다0. (그1 렇1 게1 했2 습2 니2 다2)
2번 어투는 “했습”을 높게 발음한 경우다. 평범한 진술의 태도를 보여준다. “했2습2” 다음에 뒤이은 “니다”가 낮은 음으로 돌아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의를 지킨 어투로 보인다. 그러나 괄호 안처럼 “니2다2”를 같은 음높이인 “2”로 높게 발음하면 항의하는 느낌을 주게 된다. “당신이 시켰으니 하라는 대로 했어요”라는 뜻을 뒤에 감추고 있는 것이다.
3. 그1 렇1 게1 했1 습1 니1 다2.
3번 어투는 “잘 했으니 안심하십시요”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말 끝을 올림으로서 질문의 느낌을 담은 것이다. “아시겠지요”라는 뜻을 포함한다. 그러나 요즈음 어투에 많이 나오는 맨 끝 발음인 “다”에 굴곡을 주면 함축하는 감정은 달라진다. “다” 발음을 위에서 아래로 끌어내린다면(다↘아) 또는 더 치켜 올린다던지(다↗아), 아예 굴곡을 넣어 발음하면, 느낌은 많이 달라진다. 그 굴곡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기호로 표시하면 “다⤼아, 다⤻아, 다⤳아” 등일 것이다.
4. 그1 렇2 게2 했1 습1 니0 다0.
이 경우, “그렇게”의 내용을 중시해서 말하는 경우다. “그렇게”의 세 음을 모두 높여 발음하지 않고 “그1렇2”에서 올라가는 느낌을 부여한 것은 두 발음의 관계에서 어투의 단서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투의 “상승”이 일반적으로 강조를 표현하는 느낌을 준다. 반대로 “그2렇1게1”로 내려오면, 경상도 사투리의 느낌을 주게 된다.
발음의 음높이의 차이를 검토하면, 사투리에 관한 패턴도 밝혀질 수 있다. 또한 아나운서나 전문 해설가로부터 느끼는 편안한 어투의 패턴이 어떤 것인가도 찾아낼 수 있다. 인터넷과 스마트 폰 보급 후 많아진 개인 방송에서 느끼는 어투가 왜 불편하게 느껴지는지를 알기 위해서, 어투에 세밀한 파악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지금 우리는 인터넷 상에서, “text-reader-ap”(읽기 앱)의 음성 송출을 많이 경험하고 있다. 낭독의 실수가 지나치게 많다.
“6.25”를 “육점이오”, “KF-21”을 “케이에프 마이너스 이십일”, “4000m”를 “사공--엠”, “3500t급”을 “삼천오백티급”으로 읽는 발음이 공공연하게 송출되고 있는 현실이다. 잘못 타자한 글자를 그대로 읽는 일도 흔하다. 여러 사람이 듣는다는 뜻에서의 공공 방송의 발음 오류는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대응하는 정책이 있어야 한다.
우리 세대는 중학교 시절, 국어 선생님이 지명하는 대로 일어서서 “국어 책” 읽는 것이 국어 수업 시간의 절반을 넘겼었다. 올바른 읽기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당시의 국어 선생님들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 중학교의 국어 시간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약력]서울대 명예교수 [저서]시와 리듬(1981, 개정판 2011), 음악을 본다(2009), 세계의 음악(2014) 등 [번역]기호학 이론(U. Ecco, 1984), 서양음악사(D. J. Grout, 1997)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