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이용료가 최고 1700만원에 달하는 곳이 있다. 직장인 평균 월급 4개월치를 모아야 이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또 전국 산후조리원의 절반 이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돼 있어 지역별 접근성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7개 시도에서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은 총 456곳(민간 436곳, 공공 20곳)이다. 이 중 경기도에 145곳(31.8%), 서울에 112곳(24.6%)이 위치해 두 지역에만 전체의 56.4%가 몰려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세종(6곳, 1.3%), 광주·울산·제주(각 7곳, 1.5%) 등은 산후조리원 수가 매우 적었다. 더욱이 일부 지역에서는 기초지자체 단위로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는 곳도 많았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9개, 전북은 14개 시군 중 11개, 전남과 경북은 각 22개 시군 중 14개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민간 산후조리원의 가격 차이도 심했다. 가장 비싼 곳은 서울 강남구 소재 산후조리원으로, 일반실 2주 이용 기준 1700만원에 달했다. 반면 가장 저렴한 곳은 충북의 130만원으로, 최고가와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 직장인 평균 월급이 382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최고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4개월 월급을 온전히 모아야 하는 셈이다.
지역별 평균 가격은 서울이 43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광주(370만원), 세종(347만원), 경기(332만원) 순이었다. 반면 전북(201만원), 경북(221만원), 충북(222만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보였다.
2019년 대비 2022년의 가격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광주가 64.4%(225만원→370만원)로 가장 높았고, 부산 46.3%(190만원→278만원), 경남 38.1%(197만원→272만원)이 뒤를 이었다. 박희승 의원은 "저출생 시대에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적절한 산후 돌봄이 절실하지만, 지방의 경우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인구감소지역 등 취약지에 대한 정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