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7월까지 일반의가 신규 개원한 의원은 129곳으로 이 가운데 80%가 대표적인 미용 관련 진료과로 꼽히는 피부과를 진료하겠다고 신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 등 수도권, 그중에서도 서울 강남 지역 쏠림이 두드러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올 1~7월 집계만으로 지난해 개설된 178곳의 약 73%를 채운 셈이다.
정부가 2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한 데 반발해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이 의사 면허만 보유한 일반의 자격으로 개원에 나선 영향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가 7월 이탈 전공의들의 사직서를 수리하도록 방침을 바꾼 만큼 8월 이후 일반의가 신규 개원한 의원 수가 더 늘어났을 가능성도 있다.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은 수련 과정을 거쳐 전문의를 취득하는 대신 개원, 전직, 해외 취업 등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기관을 개설할 때는 진료 과목을 신고해야 하는데 올해 신규 개설된 129곳이 신고한 진료 과목은 418개로 1곳당 3.2개꼴이었다. 이 중 진료 과목으로 피부과를 신고한 곳은 전체의 80.6%에 이르는 104곳이었다. 이어 내과(48곳), 가정의학과(34곳), 성형외과(33곳), 정형외과(28곳) 등이 상위권을 형성했다. 내과는 필수의료 분야로 꼽히지만 만성질환, 비만 치료 등으로 인기가 있다. 반면 소아청소년과는 2022년 32곳에서 올해 22곳으로 줄었고, 산부인과도 같은 기간 13개에서 올해 절반 수준인 6개로 감소했다.
일반의가 새로 개원한 의원의 소재지를 보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위치했다. 129곳 중 서울·경기도·인천이 각각 43곳·25곳·8곳이었으며 이는 전체의 58.9%에 달했다. 특히 서울에 문을 연 의원 수가 3분의 1을 차지했고 그중에서도 강남 지역 쏠림이 심해 강남구(18개소)·서초구(5개소)가 총 23개소로 절반을 넘었다.
전 의원은 “일반의 개원 역시 피부과·성형외과 등 비필수 분야 진료 과목과 수도권으로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는 의사가 공공·필수·지역의료 영역에서 진료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