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이 올해까지 2년 연속 역성장을 전망하면서 ‘유럽의 병자’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9일(현지 시간) 기자회견에서 올해 독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3%에서 -0.2%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0.3%의 마이너스 성장에 이어 2년 연속 역성장인 셈이다. 독일이 2년 연속 역성장을 한 것은 2002~2003년 이후 20여 년 만으로 당시 독일은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유럽의 병자’라는 불명예를 얻었다.
앞서 독일 정부는 연초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3%에서 0.2%로 대폭 낮췄지만 1분기 물가가 꺾이는 등 반등 신호가 나타나면서 4월 0.3%로 소폭 올려 잡았다. 하지만 이후로도 기업투자나 개인소비 등이 늘어나지 않는 등 회복이 더디자 지난달 독일경제연구소(DIW) 등 경제 싱크탱크들이 성장률을 다시 -0.1%로 내렸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제시한 성장률인 -0.2%는 경제 전문가들의 예측치보다도 낮은 수치다. 하베크 장관은 “현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고 우리는 노력하고 있지만 경기 반등이 다시 한번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독일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회복하는 듯 보였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독일은 러시아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제조업 위주의 경제여서 다른 유럽보다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에너지 가격이 안정되자 독일은 다시 회복을 꾀했지만 이번에는 핵심 산업인 자동차 산업 불황에 발목이 잡혔다. 유럽 대륙의 소비 회복이 늦어지는 데다 중국산 저가 자동차까지 밀려들면서 독일의 국민 기업 폭스바겐마저 자국 공장 폐쇄를 검토할 정도로 수세에 몰린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일의 높은 인건비와 에너지 비용, 세금 부담 등을 이유로 생산 시설 일부를 해외로 이전하려는 기업들도 많아지면서 산업 쇠퇴에 대한 우려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짚었다. 주요 선거에서 극우·극좌 포퓰리즘 정당들이 활개를 치는 등 정치적 불안전성이 커지고 있는 것도 독일 경제의 불안 요소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독일 경제의 침체 우려가 다소 과장됐다고 보면서도 구조적 요인에 따른 만성 침체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진단한다. 하베크 장관은 숙련 인력의 부족과 그에 따른 인건비 증가, 디지털 경제에서의 미미한 존재감 등을 독일 경제의 구조적 문제로 지목하며 “이런 요인들이 경제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독일 정부는 내년과 내후년 성장률은 각각 1.1%, 1.6%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