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노동 분야 전문가 기구의 남성과 특정 위원 편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양한 세대와 성별의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할 노동 회의체가 제 역할을 못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졌다.
14일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를 위해 고용노동부와 노사정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와 관련된 13개 회의체 민간전문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3명이 두 개 이상 회의체 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13명 중 11명이 대학교수다. 그런데 A교수의 경우 6개 회의체에 중복 위촉돼 활동했다. 3개 이상 회의체에 참여한 위원도 7명이다.
특히 남성 편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13명 중 여성은 이화여대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B교수 1명 뿐이다. 저출생 문제 해결과 여성의 사회생활 지원을 위해 경사노위가 발족한 일·생활 균형위원회도 13명 위원 모두 남성이었다가 최근 여성 위원 1명을 추가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은 남성 중심 문화와 성별 임금 격차, 출산·육아를 위한 경력 단절 속에서 양적으로 증가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여성 임금 근로자는 1015만2000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 1000만명을 넘었다.
김 의원은 “회의체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공익적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며 “다양한 관점과 정책 내용을 담아낼 수 있도록 구성원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