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산사태피해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여름철 자연재난대책기간(5월15일~10월15일)중 발생한 산사태는 1107건(179㏊)으로 지난해 2410건(459㏊)대비 절반이상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상청 분석자료에 따르면 전체 여름철 강수량중 78.8%(474.8㎜)가 장마철에 내렸다. 이는 1973년 기상관측 이후 가장 큰 비율이다.
산림청은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초부터 모든 역량을 집중해 △취약지역 집중관리 △범정부 협력체계 구축 △과학에 기반한 산사태 재난 대응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대피 △대국민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을 중점 추진했다.
산림청은 2만9000여개소의 산사태취약지역, 산림사업장 등에 대해 4차례의 현장점검을 실시한데 이어 862개소에 대한 안전조치를 추진했고 산사태예측정보에 토양함수량 90%시 예비경보를 추가해 선제적 대피에 활용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강우상황을 결합한 실시간 산사태위험지도 서비스를 개시한 바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사방댐 등 산사태 예방시설 설치, 취약지역 점검, 대피소 정비, 주민대피 훈련 및 대피체계 구축 등 산사태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겠다”며 “산림당국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국민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