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민족 정체성을 지킨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술래이시섬 남동쪽 부톤섬에 거주하는 찌아찌아족(약 9만3000명)이 한글을 도입해 자신들의 언어를 보존하는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찌아찌아족은 인도네시아 술래이시섬 남동쪽 부톤섬에 거주하는 인구 약 9만3000명의 부족으로 고유 문자가 없어 수 세기 동안 구전으로만 언어가 전해졌다.
인도네시아는 파푸아뉴기니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토착어를 보유한 국가이며 700개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부톤섬만 보더라도 찌아찌아족 토착어를 비롯해 약 20개의 방언이 있지만 대부분 문자가 없어 언어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아미룰 타밈 전 바우바우 시장은 "언어는 공동체의 자산이자 유산으로 고유 문자가 없으면 정체성을 잃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던 중 찌아찌아족은 2009년 한국 학자들의 방문을 계기로 한글을 도입했다. 당시 두 명의 강사가 한국으로 파견돼 한글을 배우고 찌아찌아어 교육법을 연구했다.
그 중 한 명인 아비딘은 서울대에서 6개월간 수학하며 찌아찌아어의 한글 필사를 주도했다. 그는 "한글과 찌아찌아어의 음조·발음이 매우 유사해 고전 한글과 현대 알파벳을 혼용한 독특한 표기법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바우바우 소라볼리오 지역의 거리·학교·공공시설 명칭이 로마자와 한글로 병기되고 있다.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은 자체 제작 교과서로 한글을 배우고 있다.
지역 학자들은 한글 도입으로 소멸 위기에 처한 찌아찌아어 보존에 성공했으며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전승을 문자화하는데 성공했다고 평가한다.
지역 원로인 알리르만은 "민담을 문자로 기록함으로서 지역의 지혜와 조상들의 역사, 부족의 정체성을 다음 세대에 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