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 내 국가전략기술·딥테크 분야 초기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특구에 특화된 펀드를 만들어 운영할 것입니다. 특구 권역에 소재하는 초기·중소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용펀드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지역 기술금융 생태계를 구축할 것입니다.”
정희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사진)은 1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06년 이후 총 10개 특구펀드를 조성하고 운영해 민간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활성화해 왔다”며 “국가전략기술, 딥테크 분야 초기기업 육성을 위해 2025년 특화된 펀드를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개발특구 기술 사업화 방향은 대내외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가와 지역의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과학기술 융복합 클러스터다. 특히, 특구는 국가과학기술의 허브로서 국가전략기술과 딥테크 분야 창업과 글로벌 사업화를 선도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출연연과 대학 기술을 활용한 창업부터 이전(출자)과 사업화, 스케일업과 성장지원까지 기술사업화 전주기를 지원한다.
그는 “특구를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해나겠다”라며 “사업과 기능적 연계, 성과 확산을 강화하고, 특구 중심의 권역별 거점을 구축해 지역혁신체계를 고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국가전략기술과 딥테크 분야 기술사업화 육성의지도 피력했다. 정 이사장은 “국가전략기술, 딥테크 분야 유망 공공기술을 집중 발굴하고 기술 이전과 사업화로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며 “2024년 9월 현재 1905개인 연구소기업을 공공기술의 직접사업화 등을 통해 대폭 확대해나갈 방침”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글로벌 혁신기관과 협업을 통한 글로벌 기술사업화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기관과 해외거점 기관을 연계하고, 출연연·대학과 함께 연구개발(R&D)과 함께 기술기업의 성공적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재단은 특구기업을 대상으로 북미와 유럽 권역별 글로벌 기술검증(PoC. Proof of Concept) 프로그램을 기획해 운영한다. 또 특구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지역혁신엔진(RIE) 간 지속 가능한 협력 플랫폼을 2025년 신규로 구축해 운영할 계획이다.
특구 내 기술사업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도 과감히 해소해 나가기로 했다. 정 이사장은 “기존 법령상 규제로 신기술 실증이 어려울 경우 관련 규제 전부 또는 일부를 특구내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규제특례를 고도화하겠다”라며 “규제 예측과 컨설팅, 규제 사전발굴 기능 강화 등을 통해 규제특례 지정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이어 “글로벌 선도국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딥테크, 스케일업에 전폭적 지원 중이고 국내 코스닥 상장사도 딥테크, 첨단기술 분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특구내 딥테크, 첨단기술 분야의 성장세도 뚜렷한 만큼 이를 사업화해 지역혁신 성장을 이끌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