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고용시장의 ‘약한 고리’인 비정규직 근로자에게 정규직 보다 더 큰 고용 충격을 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충격에 대한 회복도 대기업과 정규직이 먼저 이뤄진 만큼 경제 위기 때 비정규직과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22일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김기민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최근 ‘코로나19가 사업체 고용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분석은 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를 기초로 2년 6개월간 코로나19가 고용시장이 미친 영향을 추적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후 6개월 동안 정규직 고용은 2% 줄었다. 이 기간 비정규직은 3.3% 감소했다. 하지만 누적된 충격이 비정규직에 더 컸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된 2년 6개월 후 정규직이 1.8% 고용 회복을 보였지만, 비정규직이 8.2%까지 하락했다. 파견, 하청, 용역과 같은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경우 이 비율이 -12.5%까지 떨어졌다.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비정규직부터 고용시장 밖으로 밀려나갔다는 의미다. 김 전문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는 비정규직 근로자에게 더 큰 위협이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분석 사업체는 코로나19가 한창인 2022년 대응 방식을 묻자 41.5%는 휴업을, 17.7%는 휴직을, 12.5%는 임금 동결 또는 삭감을 단행했다고 답했다. 인력감축도 8.3%를 기록했다. 정규직에 비해 임금 수준 등 고용 여건이 나쁜 비정규직은 휴업과 휴직이 생계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의 회복력도 대기업과 정규직이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보다 높았다. 코로나19 발생 후 2년 6개월부터 대기업과 정규직 고용은 코로나19 수준으로 회복됐다는 분석이다. 김 전문위원은 “(코로나19와 같은) 경제위기 때 중소사업체에 대한 지원 방안과 취약계층의 생활안정, 고용안정 제도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며 “코로나19가 기업 규모, 고용 형태의 격차 확대를 미친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