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서 해제까지의 5시간이 언론과 SNS를 통해 전국민에게 실시간으로 공유됐다. 과거 군부독재 시절과 달리 언론이 통제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번 사태 해결의 주요 배경으로 분석되고 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3일 밤, 국회 인근으로 모인 시민들은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하거나 사진과 동영상을 SNS, 카카오톡 등으로 공유했다. 국회 안으로 날아드는 군 헬기의 모습과 완전무장한 계엄군이 국회 내부로 진입하는 모습 등이 삽시간에 퍼지면서 정보 공유가 이뤄졌고, 정치인들이 직접 국회 안에서 유튜브 등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하면서 계엄 선포 뒤 국회 안 상황이 여과 없이 공개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월담을 통한 국회 진입 장면을 담은 유튜브 생중계는 241만 명이 시청했다. 이어 4일 낮 12시 추가 유튜브 라이브 방송도 예고된 상태다. 본회의를 주재한 우원식 국회의장의 유튜브 채널의 2시간 20분 분량 생중계 영상도 61만 회의 높은 조회 수를 기록했다.
3~4일 사이 포털과 SNS에는 혼란과 우려를 표시하는 누리꾼들의 글이 쏟아졌다. 특히 네이버는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카페 접속과 뉴스 댓글 달기 등 일부 기능에 장애가 발생했다가 현재는 정상화됐다. 카카오톡에서는 비상계엄 관련 오픈채팅방이 여럿 개설돼 상황을 공유하고 우려를 표하는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4일 엑스(X)의 실시간 트렌드에 따르면, '비상계엄'과 관련된 게시물은 80만 개를 넘으며 1위를 차지했다. 계엄과 관련된 키워드가 실시간 트렌드 1~5위를 독점했으며, 계엄 관련 게시글이 100만여 건에 달했다. 구글 트렌드에서도 '계엄령'이 실시간 검색어 1위를 기록하며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