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일 발발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 사태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에 대해 경찰이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8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이날 오전부터 전담 수사팀을 김 전 장관의 공관과 국방부장관 집무실 등에 파견해 압수수색을 벌였다고 밝혔다. 혐의는 내란죄 등이다.
앞서 이날 오전 1시 30분께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가 자진 출석해 조사를 받던 김 전 장관을 오전 8시께 긴급 체포한 만큼 경찰 또한 수사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해 발 빠른 대처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국수본은 비상계엄과 관련해 조국혁신당, 민주노총, 진보당, 더불어민주당 등 4곳으로부터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박 총장, 이 장관,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등을 상대로 한 내란·반란·직권남용 등 혐의의 고발장을 접수했다.
국수본은 해당 사건을 안보수사단에 배당하고 송영호 안보수사심의관을 필두로 한 120여 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구성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안보수사단 소속 총경급 과장 3명도 투입됐다. 시·도 경찰청에서 인력을 끌어올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이다.
이달 6일 국수본은 피고발인인 조 청장과 김 청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등 4명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형태로 압수해 이를 분석하고 있다.
경찰은 검수완박에 따라 ‘내란죄’ 직접 수사는 경찰의 소관이라는 입장을 내비치며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