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계엄 당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진술과 달리 계엄 이틀 전에 이미 계엄 사실을 알았다고도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이 자신과의 통화에서 ‘총’ ‘발포’ 등의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은 10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대통령이 비화폰으로 직접 전화해 ‘의결정족수가 아직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문 부수고 들어가서 안의 인원들 끄집어내라’고 말씀했다”고 전했다. 이후 현장 지휘관들과 공포탄을 쏴서 들어갈지, 전기를 끊어서 방해할지 논의했으나 지휘관들이 반대했다는 설명이다. 곽 사령관 역시 옳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현 위치에서 더 이상 안으로 진입하지 말라고 중지시켰다”고 덧붙였다.
‘비화폰으로 통화하던 당시 대통령이 총·발포·진압·장갑차 등의 단어를 사용했느냐’는 질의에 대해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곽 사령관은 “12월 1일에 이미 계엄 사실을 알았으나 공범이 될까 봐 여단장들에게는 알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1일 지시받은 내용에 대해 그는 “국회, 선관위 셋(3곳), 민주당사, 여론조사 ‘꽃’ 등 6개 지역을 확보하라는 것이었다”면서 “임무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유선 비화폰으로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국방위에서 답변하지 않았던 사실을 뒤늦게 털어놓은 것에 대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도 진술하지 않았다”며 “관계자들이 이미 말을 맞춰놓았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이 12·3 불법 비상계엄을 미리 준비했던 정황은 군 장성들의 고백에서도 드러났다. 국방위에 출석한 이경민 국군 방첩사령부 참모장은 여인형 사령관이 계엄 이틀 전인 1일 ‘북한 도발’을 이유로 주요 간부들에게 지시 대기를 하달했다고 밝혔다. 계엄이 선포된 3일에는 여 사령관이 “북한 쓰레기 풍선 관련 상황이 심각하니 각 처·실장들은 음주를 자제하고 대기를 철저히 하라”는 지시도 내렸다. 북한이 마지막 풍선을 띄운 것은 지난달 28~29일, 탄도미사일 발사 등의 무력시위 역시 지난달 5일이 마지막이었다.
관련기사
여 사령관이 계엄 선포 사실을 미리 알았을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그는 윤 대통령, 김 전 장관과 같은 충암고 출신이자 이번 계엄 사태의 핵심 관계자로 지목받아왔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구금 시설 및 체포와 관련된 지시를 여 사령관으로부터 직접 받았다”고 증언했다. 특히 “B1 벙커 안에 구금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고 지시받았다”고 말했다. B1 벙커는 육군 수방사 관할의 지휘 통제 벙커로 유사시 군의 실질적인 전쟁 지휘부 역할을 맡는 핵심 시설이다.
계엄을 준비한 정황은 문상호 국군 정보사령관의 진술에서도 드러났다. 문 사령관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3일 오전 10시에서 11시께 “이번 주에 야간 임무가 있을 수 있으니 1개 팀 정도를 편성·대기시키라”고 지시했다. 이후 “오늘 밤 바로 임무를 줄 수 있다. 정부과천청사 인근에서 저녁 9시쯤 대기하라”는 지시가 이어졌다. 정부청사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260m 거리다. 앞서 계엄 사태 핵심 관계자로 지목된 사령관들과 마찬가지로 문 사령관도 이날 직무 정지됐다.
계엄사령관으로 지명됐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12월 3일 오후 4시께 김 전 장관과 단 둘이 만나 “현안 토의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5일 국방위에서는 윤 대통령의 담화 발표 후에야 계엄 선포 사실을 알았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가 가결된 뒤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 전자명령시스템을 통해 제7공수여단·제13공수여단에 즉각 파견을 준비하라는 명령이 내려갔다”고 밝혔다. 계엄이 해제되자마자 제2 계엄이 추진됐다는 의미다. 박 의원은 “박안수 당시 계엄사령관, 정진팔 계엄부사령관이 김 전 장관과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추가 지시를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