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환·금융시장에 대한 12·3 비상계엄의 충격파가 한 달 넘도록 이어지고 있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 초반 전날보다 7.5원 높은 1474.1원까지 치솟았다가 1.8원 오른 1468.4원으로 마감했다. 지난해 11월 평균 원·달러 환율이 1396.4원이었음을 감안하면 한 달 새 70원 이상 급등한 것이다. 한국은행이 연초부터 국민연금의 환 헤지 물량 출회까지 언급하며 강력한 구두 개입 의사를 밝혔는데도 별다른 환율 안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예정으로 거세지는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우려로 유로화·위안화 등의 가치가 2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탓도 있다. 그러나 원화 약세를 초래하는 더 큰 악재는 계엄·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으로 봐야 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이창용 한은 총재 등이 참석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열고 앞으로 매주 직접 회의를 주재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업무가 과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 총재도 ‘정치와 별개로 경제는 견조하다’는 메시지를 보내며 시장 안정화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경제 수장들의 안간힘에도 정치 불안이 촉발한 경제 위기 조짐은 수그러들 기미가 없다. 설상가상으로 국제 유가가 2%나 오르는 등 원자재 가격이 연초부터 들썩이고 있어 원자재를 수입해야 하는 국내 기업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계엄·탄핵 이후 우리 경제의 최대 리스크로 부상한 환율 불안을 해소하려면 정치를 정상화해야 한다. 달러 강세로 인한 환율 상승은 불가피하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고환율은 자칫 국가 신용등급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경제불확실성지수는 12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와 여야는 조속히 여야정 협의체를 가동해 정치 불안이 경제 위기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여야는 반도체특별법 등 미래 성장 동력 관련 법안부터 합의 처리해 대외 신뢰도 회복에 긍정적 신호를 발신해야 할 것이다. 여야정이 정쟁을 멈추고 고환율 등 경제 현안에서는 뜻을 모아 외환·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