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최근 급상승세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이어지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위기 상황에서 보수가 결집하고 있다는 분석과 함께 국회의 탄핵소추 가결로 업무가 정지된 윤 대통령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무리한 체포영장 집행 역풍이 부는 것이란 분석도 있다. 다만 야권에서는 조사 문항이 편파적이라며 신뢰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10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조사 발표된 윤 대통령 지지율은 30%대 후반~40%대를 기록 중이다.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가 아시아투데이 의뢰로 5일 발표한 자료로는 윤 대통령 지지율은 40%였다. 리서치뷰가 KPI뉴스 의뢰로 5~6일 진행해 8일 발표한 지지율은 36.9%, 데일리안이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6~7일 진행 9일 발표한 지지율은 42.4%였다.
윤 대통령 지지율이 급상승하면서 여권에서는 고무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4월 총선 이후 윤 대통령 지지율은 줄곧 10~20%대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윤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 전인 지난 달 13일 한국갤럽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11%라고 발표했다.
여당인 국민의힘 지지율 역시 강세다. 한국여론평판연구소와 아시아투데이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6%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39%였다. 리서치뷰가 KPI뉴스 의뢰로 진행한 조사에서도 국민의 힘은 33.5%, 민주당은 43.3%였다. 직전 조사 대비 국민의힘의 지지율은 15.3%포인트 상승했다. 데일리안-여론조사공정의 조사에서 국민의힘이 41%, 민주당이 38.9%로 나타나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직전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10.7%포인트 올랐고, 민주당은 5.2%포인트 내렸다.
3곳의 여론조사 업체는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에 등록된 정식 여론조사 업체다. 다만 설문 방식이 무선ARS 방식인 점, 설문 문항이 편향적이라는 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지를 두고 야권을 중심으로 각종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ARS 조사는 사람 육성이 아닌 기계음을 통해 질문을 하기에 5분의 시간 동안 질문들을 끝까지 다 듣는 것은 쉽지 않다. 이렇다 보니 응답자 다수가 강성 지지층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보수층을 과표집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사가 설계됐다는 지적이다.
여론조사 문항이 특정 지지층을 겨냥한 편향된 질문으로 구성된 점 역시 논란이다. 한국여론평판연구소가 5일 발표한 조사에서는 “선생님께서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에 대한 불법 논란에도 불구하고 공수처가 현직 대통령을 강제 연행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등 방향이 정해져 있는 질문으로 비판받은 바 있다.
하지만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하는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더불어민주당 36%, 국민의힘 32%가 나왔다. 직전 조사(2024년 12월 16~18일) 정당지지도와 비교해 민주당은 3%포인트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6%포인트 올랐다.
이상일 전 케이스탯컨설팅 소장은 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탄핵심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절박감과 위기의식을 느끼는 보수층이 여론조사에서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때 등을 돌렸던 보수층 일부가 민주당이 한덕수 총리까지 탄핵하며 국정 운영을 흔들고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등 무리한 속도전에 나서면서 불안감을 느껴 다시 여당 지지로 돌아섰다는 설명도 나온다. 윤 대통령 수사를 둘러싼 적법성 논란과 이를 압박하는 민주당 의원들의 거친 언사도 이유로 풀이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정권을 내줬던 트라우마가 작용한 것이란 분석도 있다.
여권 일각에선 지금 지지율 추세가 이어질 경우 탄핵 심판 중인 헌법재판소도 영향을 받지 않겠냐고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탄핵 국면에서 지지율이 4%까지 떨어 진 바 있다.
민주당은 엉터리 여론조사에 대한 근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나섰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9일 "엉터리 여론조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며 "여론조사의 구체적 방식, 여론조사 응답률의 산정 방식, 또 조사 결과의 공표 기준 같은 것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